지난 30일 정치권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김영철 부장검사)는 지난 4월29일 서울 송파구에 있는 송 전 대표의 주거지와 외곽조직 격인 ‘먹고사는문제연구소’ 서울 여의도 사무실, 당시 경선 캠프 관계자 주거지 등 여러 곳에 검사와 수사관 등을 보내 회계 관련 자료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에 있는 송 전 대표의 옛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2021년 3~5월 민주당 윤관석·이성만 의원,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 강래구 전 감사 등이 공모해 전당대회에서 송 전 대표를 당선시키기 위해 국회의원, 대의원 등에게 총 9400만원을 살포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여왔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재창당에 버금가는 고강도 개혁안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는 만큼 불법 정치자금과 관련한 당헌·당규 전반을 대수술하는 방안도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광온 신임 원내대표도 당선 일성으로 ‘쇄신 의원총회’를 즉각 열겠다고 밝히고 있다. 170명 의원 모두가 밤샘 토론이라도 해서 쇄신안 얼개를 추리자는 제안이다.
이와 관련, 당 고위 관계자는 30일 “당 정치혁신위원회와 민주연구원, 전략위원회가 쇄신책 논의의 주요 축이다. 지도부는 쇄신안 마련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공감대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지도부는 일단 정치혁신위가 다뤄온 40여개 의제 가운데 당장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안들을 추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혁신위 정당분과에서 일찌감치 논의해 온 ‘대의원제 축소안’이 대표적이다.
전당대회 때 대의원에게 할당된 표 비중을 30%에서 20%로 줄이고, 대신 권리당원 표 비중은 40%에서 50%로 올리는 방안이다.
대의원제 개선 요구는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전당대회 때 대의원이 행사하는 1표가 권리당원 60표에 해당해 표 등가성이 ‘당원 민주주의’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었다.
민주당은 지난해 ‘8·28 전당대회’를 앞두고도 대의원 표 반영 비율을 기존 45%에서 30%로 낮춘 바 있다.
다만, 당내 이견도 만만치 않아 실제 추진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당장 비명(비이재명)계에선 이재명 대표를 지지하는 강성 당원을 의미하는 이른바 ‘개딸’(개혁의딸)의 영향력만 키울 수 있다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