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민주당에 따르면 지난 15일 선임된 김 교수는 인적 구성에 집중하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이날 “총 10명 내외 인원 중 절반 이상은 외부인이 되지 않겠나. 혁신 대상이 될 수도 있는 현역 국회의원은 2~3명 내외로 최소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혁신기구 수장에 선임됐던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이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대표를 지지한 이력이 밝혀져 비명(비이재명)계로부터 ‘이재명 친위대를 꾸린다’는 비판이 나왔던 만큼 현역 의원들 계파 안배도 고려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적 구성보다는 혁신기구가 어떤 역할을 할지가 최대 관심사이지만 이 부분은 여전히 ‘깜깜이’다.
이 대표가 혁신 전권을 주겠다고 한 만큼 당은 혁신기구의 구체적 역할을 놓고 김 교수와 별도의 소통이 없었다고 한다.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이뤄지는 이런 논의 자체가 가이드라인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쇄신 의원총회’에서 전당대회 투명성과 민주성 강화 등 정치혁신 방안이 혁신기구 출범 명분이 된 만큼 우선은 이러한 의제가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과 탈당한 김남국 의원 거액 가상자산 보유·거래 의혹 등으로 치명상을 입은 당 도덕성을 어떻게 회복할지도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당 안팎에선 혁신기구에서 현역 의원 기득권을 내려놓는 강력한 혁신안이 나온다면 내년 총선 공천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문제는 이런 혁신안이 얼마나 동력을 받아 실행되느냐다.
비명계는 혁신기구 구성과는 무관하게 여전히 이 대표 사퇴가 최고의 혁신이라며 거취 표명을 압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교수를 위시한 혁신기구가 연착륙하지 못하면 혁신 작업이 외려 당 내홍을 키울 가능성도 있다.
김 교수는 지난 15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돈 봉투 사건이 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자료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김은경 발 민주당 혁신위원회는 민주당의 쇄신이 아니라 또 하나의 방탄이었다”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