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25일 “해외 순방에서 귀국한 윤 대통령이 관련 보고를 받았다. 김 국정원장을 교체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했다.
윤 대통령 지시에 따라 국정원은 내부 인사 시스템을 정비하고, 원장과 차장들 간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구축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을 하루빨리 정상화하고, 방첩 업무 등 고유 임무를 더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기강을 다잡는 게 국가를 위해 시급한 과제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김 원장 리더십이 신속하게 회복되느냐 여부에 따라 2차, 3차 파동이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사태 봉합을 넘어 최종 안정화 단계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와 함께 차기 방통위원장 및 통일부 장관 지명과 차관 대폭 교체 그리고 이에 따른 대통령실 일부 비서관 차관 발탁 등이 거론된다. 장관급인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사실상 내정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에 대한 지명은 이르면 이번주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법원이 윤 대통령 귀국 전날인 23일 한상혁 전 방통위원장이 윤 대통령을 상대로 낸 면직 처분 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하면서 ‘불확실성’도 해소된 상황이다. 한 전 위원장이 업무에 복귀할 가능성이 사라진 만큼 윤 대통령이 더는 차기 방통위원장 지명을 미룰 이유가 없다는 게 대통령실 내부 분위기다. 또한 야권이 이 특보의 아들 학교폭력 논란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지만, 그간 이 특보의 해명을 뒤집을 만큼의 내용은 도출되지 않았다고 대통령실은 보고 있다.
새 통일부 장관 지명도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 국회의원인 권영세 장관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최근 당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장관 후보로는 통일부 장관 자문기구인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가 물망에 올랐다. 또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국민의힘 정경희 의원 등도 거론되는데 이들 상당수는 장관직을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처 차관도 대폭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규모는 19개 부처 차관 중 절반 이상이 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환경부·해양수산부 등이 차관 교체 대상으로 주로 거론되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