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연체율 심상찮다
상태바
국내은행 연체율 심상찮다
  • 이형중
  • 승인 2023.06.26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은행의 분기 말 연체율이 2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르는 등 금융권 전반의 건전성이 나빠졌다.

특히 시장 금리가 짧은 기간 큰 폭으로 오르면서 한계기업들의 부실화 가능성이 큰 만큼, 은행권 자산 건전성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5일 ‘국내은행 건전성 위협요인·향후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은행 분기별 연체율은 지난해 6월 말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지난 3월 말에는 0.33%를 기록해 2020년 6월 말 이후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 연체율도 지난 3월 말 기준 5.1%로 2017년 6월 말 이후 5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신용카드사 연체율도 지난해 말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최근 금융권 건전성 악화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가계와 기업 등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짧은 기간에 금리가 높은 상승률을 보여 기업들이 고금리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데다,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거나 복귀가 어려울 수 있어 한계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졌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은 지난 2014년 이후 26~28% 수준을 유지했으나 2018년 이후 30%를 웃돌았다. 지난 2022년에는 35.1%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30.9%)보다 높았다.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제도 중 상환유예가 오는 9월 종료될 예정이라는 것도 자산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상환유예 지원 대상 여신은 전체 잔액(85조3000억원)의 7.7%인 6조6000억원이며 상환계획서에 따라 오는 2028년 9월까지 분할 상환을 할 수 있다.

석현주기자 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