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에서 이러한 내용의 장·차관 인선 등 부분 개각 결과를 발표했다.
기획재정부 2차관에는 김완섭 현 기재부 예산실장이 발탁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에는 조성경 현 대통령실 과기비서관, 외교부 2차관에는 오영주 주베트남 대사, 통일부 차관에는 외교부 출신인 문승현 주태국대사가 각각 임명됐다.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엔 한훈 통계청장, 환경부 차관엔 임상준 대통령실 국정과제비서관, 고용노동부 차관엔 이성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이 임명됐다. 국토교통부 1차관과 2차관으로는 각각 김오진 대통령실 관리비서관, 백원국 국토교통비서관이 임명됐다. 해양수산부 차관은 박성훈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은 오기웅 중기부 기획조정실장,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원장은 김채환 전 서울사이버대 전임교수가 맡게 됐다.
통일부 장관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한다.
청문회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권익위원장과 차관은 다음 달 3일 자로 임명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인사를 놓고 윤대통령 취임 1년여 만에 단행한 장·차관 인사를 통해 국정 장악의 고삐를 바짝 죄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면 개각 대신 대통령실 비서관으로 근무하며 윤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체화한 참모들을 대거 정부 부처 차관으로 전진 배치해 국정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 점이 눈에 띈다.
차관에 오른 김오진·박성훈·백원국·임상준·조성경 비서관은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부터 합류해 윤 대통령의 국정과제 이행 실무를 맡아오던 이들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에 이어 이번에 환경부 차관을 교체하는 등 국정과제 이행이 미진한 일부 부처에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민에게 정권 교체의 효능감을 돌려주기 위해 복지부동하는 관료 조직에 경각심을 불어넣을 필요가 있었다는 게 대통령실 관계자들의 일관된 설명이다.
차관으로 발탁된 비서관 상당수는 내년 4월 22대 총선 출마 후보군으로 거론되던 인물들이다.
박성훈 국정기획비서관은 부산, 임상준 국정과제비서관은 충남 아산, 김오진 관리비서관은 대구 지역 출마가 점쳐지던 상황이었던 만큼 향후 이들의 ‘역할론’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날 발표할 것으로 예상됐던 차기 방송통신위원장 인사는 이르면 내달, 늦으면 8월 초로 밀리는 분위기다.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가 내정된 상태는 그대로지만, 여러 정무적 고려가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