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양플랜트硏 대체사업
해상분야 4차산업혁명 기술
바다에서 공동 시험·검증
사업비 총 4000억 규모로
市·해수부 함께 예타 대비
해상분야 4차산업혁명 기술
바다에서 공동 시험·검증
사업비 총 4000억 규모로
市·해수부 함께 예타 대비

울산시는 해양수산부와 함께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울산해역에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클러스터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채택한 차세대 해상안전종합관리체계인 e-내비게이션(선박운항기술에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장비를 통합·표준화하는 시스템)을 비롯해 자율운항 선박, 선박·항만 물류 통신 플랫폼 등 해상 분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다에서 공동 시험·검증하는 협력체계를 말한다.
클러스터에서는 한국형 e-내비게이션과 연계해 개발·구축한 △선박-육상(항만) 간 서비스운영 플랫폼(MCP) △세계 최초로 구축되는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 △한국형 e-Navigaton 서비스 단말기가 탑재된 선박 등이 포함된다.
국제적으로 도입되는 해상디지털 기술은 국제적 표준성, 호환성, 초연결성 및 기능·효과성 검증이 전제돼야 한다.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해상분야 4차 산업혁명 관련 국제해상디지털 기술들이 우리나라의 기술과 접목돼 한국해역을 거점으로 실해역 공동 시험·검증에 관한 국제협력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 사업비는 4000억원으로 국비 3000억원, 시비 700억원, 민자 300억원으로 구성된다. 해수부와 울산시는 예타기획 연구용역을 착수한다. 연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맡는다. 해수부와 울산시는 기획위원회를 구성, 이달 용역착수보고회를 연다.
앞서 해수부와 울산시는 최근 용역수행 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올해 10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총 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 기획재정부의 예타를 받아야 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는 급변하는 해운·조선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지역 대선공약사업인 ‘한국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 설립사업은 무산됐다(본보 2019년 10월2일자 2면 보도). 기존에 설치된 국가연구기관과의 중복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대정부 설득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부설기관 유치로 전환했다. 1000억원이 들어가는 이 사업의 주관 부처는 해양수산부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