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대길(사진) 울산시의회 부의장은 2일 전국적으로 추진 중인 모듈러임시교사 사업의 가격 인상에 대해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모듈러임시교사는 공장에서 골조, 마감재, 기계, 전기설비 등을 갖춘 규격화된 건물(유닛)을 완성해 현장에 운송해주면 조립해서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학교를 말한다.
강대길 부의장은 “지난해에 구매한 청량초, 고헌초의 경우 실당 단가가 1억4000만원 수준이었는데 올해에는 실당 단가가 2억2000만원으로 1년 사이에 57% 증가했다”고 밝혔다.
모듈러교실의 조달방식은 구매와 임차 방식으로 구분된다. 구매는 조달청 혁신시제품 지정에 따라 혁신장터에서 수의계약이 가능한 반면, 임차는 나라장터에서 조달청 등록 업체별 카탈로그를 참고해 최저가 경쟁입찰방식 또는 2단계 입찰로 진행된다고 강 부의장은 설명했다.
강 부의장은 “문제는 2025년까지 추진되는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과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교과교실제, 자유학기(년)제 등을 위한 미래형 모듈러 활성화 발표 등 수요는 꾸준히 있으나, 공급업체가 제한적이라는 데 있다”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한정적이니 당연히 가격결정에서 수요자가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 부의장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균형가격 결정이 어려우므로 교육부와 조달청이 협력하여 모듈러 제작사 인증 확대, 시도별 수요를 고려해 공동조달을 통한 적정 가격 유도 등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며 “모듈러교사 활용에 있어 교육부 차원의 더욱 깊이있는 연구와 평가가 선행된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