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야권에 따르면 비위 의혹을 받는 인사가 당 조사나 징계 절차가 시작되기도 전에 ‘자진 탈당’하는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한 제도 개선안이다. 당 안팎에선 특히 거액의 코인 보유 논란에 휩싸이자 탈당한 김남국 의원에 대한 비난 여론을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이 불거진 뒤 역시 스스로 당을 떠난 윤관석·이성만 의원이나 송영길 전 대표 역시 ‘꼼수 탈당’이란 비판을 받아왔다.
혁신위는 일단 당헌·당규의 자진 탈당자 복당 벌칙 규정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위는 이와 함께 지난달 30일 11인 체제를 완성한 만큼 금주부터는 전방위적 쇄신 작업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별도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이 안에 ‘민주당 혁신’과 관련한 국민 의견을 받는 게시판 형태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다. 당 홈페이지에서 강경 성향 일부 권리당원이 주로 활동하는 만큼 혁신위 홈페이지를 일반 국민과의 소통 채널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혁신위 내부에 여러 소위원회를 구성해 위원별 전문성에 맞춘 심층 논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혁신위 관계자는 “위원별 소위 배분을 어느 정도 마쳤다. 소위 구성 및 활동 계획을 공표할지는 내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당내 일각에선 혁신위가 ‘강경 드라이브’로만 계속 가다가는 활동 초기부터 난관에 부딪힐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