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오는 9월 국보 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한다.
대한민국 산업수도 울산의 20여년 최대 현안인 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이 최종 확정 된데 따른 것이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문화융성 정책과 연동, 민선 8기 김두겸 시정부가 목표로 세운 오는 2025년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된 국제 절차 준비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정부 유관부처인 문체부와 문화재청 등이 전방위 지원체제로 전환되면서 울산은 명실상부한 문화도시로의 업그레이드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재청은 13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를 열어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등재 신청 대상으로 선정했다. 2010년 1월 잠정 목록에 등재된 지 약 13년 만이다.
세계유산분과위는 이날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120분간 심층회의에서 암각화의 역사 문화가치를 비롯해 영구보존 필요성 등에 대해 다각적인 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이날 심사를 펼친 11명의 심사위원들은 지난달 19~20일 울산 반구대 암각화 현장 답사 및 워크숍을 통해 확인된 역사성과 가치를 토대로 이견 없이 만장일치로 유네스코 등재 신청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한 문화정책 핵심관계자는 이날 “세계유산분과 위원들이 다각적이고도 심도 있는 심사과정에서 대부분 반구천 암각화의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면서 “이렇게 중요한 암각화를 정부차원에서 더는 방치해선 안된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세계유산 등재 신청 찬성 배경을 설명했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현재 국보로 지정된 ‘울주 천전리 각석(글자나 무늬를 새긴 돌)’과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한 유산이다. 이로써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총 4단계의 국내 절차는 완료됐다.
그 첫 단계인 문화재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선정은 2010년 1월 이뤄졌는데, 그다음 단계인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 선정(2021년 2월)까지는 10여 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2015년과 2020년 있었던 우선등재목록 심의에서 각각 ‘부결’과 ‘보류’ 결정이 내려진 것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유산 보존 대책, 반구천 일대를 아우르는 유산 개념 정립과 탁월성 입증 등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이후 ‘실효성 있는 보존·관리 대책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는 전제 아래 우선등재목록에 선정될 수 있었고, 올해 4월에는 세 번째 단계인 세계유산 등재신청후보 선정까지 완료했다.
시는 본격적으로 국제 절차 준비에 돌입한다. 그 절차는 오는 9월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내년에 등재신청서 심사와 실사단의 현지 심사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2025년 7월께 세계유산으로 최종 등재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