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순방국인 폴란드 현지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화상 연결, 집중호우 대처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호우 피해 및 대응 상황을 긴급 점검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우크라이나 방문을 마치고 폴란드로 돌아온 윤 대통령은 17일 (한국시간) 귀국하는 대로 즉시 중대본 회의를 직접 주재, 상황을 다시 챙길 예정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회의에서 “이번 폭우로 인해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지역 사전 통제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재난 대응의 제1원칙은 위험지역에 대한 진입 통제와 물길의 역류나 범람을 빨리 인식해 선제적으로 대피 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지방자치단체가 현장에서 신속하게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기상청, 산림청 등 유관기관은 위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파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또 “재난 피해에 대한 지원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 행정안전부가 지자체와 함께 이재민에 대한 보호와 지원사항을 점검해 국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신속하게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로 기상 전망이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기상청은 지역별로 보다 세부적인 기상 상황을 선제적으로 신속 전파해달라. 경찰은 지자체와 협력해 저지대 진입 통제를 무리하다 싶을 정도로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한덕수 국무총리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호우대처 상황 점검회의에서 집중 호우로 인명피해가 속출한 데 대해 “실종된 분들에 대한 구조·수색 작업에 박차를 가해 신속하게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계속되는 폭우로 매몰사고와 범람이 지속되면서 피해가 늘고 있다”고 밝히고 특히 청주시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 구조 작업에 군·경찰·소방·지자체의 모든 인력과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사전대피와 주거지 피해 등으로 현재 일시 대피하고 있는 분들이 5000명을 넘었다. 정부와 지자체의 사전대피 요청에 적극 협조해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언급했다.
한 총리는 관계 부처와 지자체에 “대피 중인 분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빈틈없이 지원하기를 바란다”며 “온전한 일상으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복구에도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