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전면 시행 예정인 ‘유아교육·보육통합(유보통합)’과 관련해 교육부의 세부 지침 발표가 미뤄짐에 따라 울산시교육청이 선제적으로 ‘울산형 유보통합’ 계획 마련에 나섰다. 수도권 시도교육감을 중심으로 ‘2년 이상 유예’ 목소리가 잇따르고 지역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만만찮은 만큼 신중한 행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0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오는 2025년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관리 체계를 통합해 운영하는 ‘유보통합’이 전면 시행된다.
교육부(유치원)와 보건복지부(어린이집)로 이원화된 관리 체계는 교육부로 일원화된다.
이와 관련 천창수 시교육감은 이날 월요정책회의에서 “우리 교육청에서는 나름대로 유보통합 관련 준비가 잘 돼 가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다만 걱정스러운 것은 교육부가 예산·인력 등이 담긴 통합 모델에 대한 세부 지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해 지연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천 교육감은 또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혼선을 빚지 않게 교육부 지침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울산형 유보통합’ 모델을 독자적으로 구상해보자”고 제안했다.
천 교육감의 제안이 나온 배경에는 현장의 혼란에 있다는 분석이다. 교육부의 세부 지침이 지연됨에 따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학부모 등은 혼란에 빠져 있다.
특히 유보통합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가 큰 유치원 현장에서는 교육 과정에 중점을 두는 것인지, 보육에 포커스를 맞추는지 등을 두고 불만의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교육부의 세부 지침 마련이 지연될수록 현장 혼란이 가중되는 만큼 시교육청 차원의 예비 모델이라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에 시교육청은 미리 울산 맞춤형 유보통합 모델을 만든 뒤, 비교 후 수정·확정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현장은 물론 수도권 교육감들의 유보통합 유예 요구 속에 울산만 나홀로 속도전을 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유보통합과 관련된 예산이 없어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천창수 울산시교육감은 “관련 예산이 없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을 우선적으로 투입해 울산만의 모델을 추진해보자”고 말했다.
이와 관련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정작 시행이 눈 앞에 닥쳤을 때,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면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으니 가능하면 선제적으로 준비해보자는 뜻”이라며 “현장에서 혼선을 빚지 않도록 계속해서 소통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박재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