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휴진을 신고한 병의원이 4%대에 머물렀고, 울산 역시 수치가 높지 않아 의료 현장에 타격은 작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대학교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울산대병원 전공의와 울산의대 학생들은 우리의 제자이자 울산 의료의 미래”라며 “이들이 안정적으로 의업을 배우고 환자를 돌볼 수 있는 미래 의료 환경을 지키기 위해 18일 휴진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비대위는 가장 먼저 서울아산병원의 휴진을 알린 데 이어 울산의대 수련병원(울산대병원·서울아산병원·강릉아산병원)에서는 두번째로 울산대병원의 휴진을 공식화했다.
비대위는 “정부는 여전히 근거 없는 의대 정원 확대와 모두의 불행을 예고하는 의료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며 “준비되지 않은 정원 확대로 양질의 교육 환경을 붕괴시키고, 초법적인 명령과 협박으로 의사와 전공의를 행정 처분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전공의에 대한 진료 유지 및 업무 개시 명령 완전 취소 △책임 있는 자세로 의대 정원 확대 문제 및 필수 의료 정책 재논의 등을 요구했다.
다만 구체적인 인원이나 휴진 방식 등은 알려지지 않았는데, 지난 5월 휴진처럼 교수·과별 등 자율 휴진 참여 방식이 점쳐져 큰 의료 차질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울산대병원 관계자는 “휴진으로 인해 진료나 수술이 취소될 경우 각 진료과에서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라며 “병원장 차원의 휴진 불허 방침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18일 휴진을 위해 지자체에 신고된 휴진 건수가 전국적으로 4%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의협의 투표 당시 70% 가까이가 휴진을 지지한 것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울산시에 접수된 휴진 신고 건수 역시 전국 평균을 웃돌았지만, 한 자리 대에 머물면서 휴진으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