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남구 대현동에 사는 20대 A씨는 가정 불화로 인한 극심한 우울증으로 사회 활동을 하지 않고 수년째 집안에 은둔했다. 지난 2022년 A씨 부모의 요청으로 대현동 행정복지센터는 보건복지 상담을 실시한 뒤 A씨를 통합사례 관리 대상자로 선정하고 맞춤형 복지를 지원했다.
대현동 행정복지센터 맞춤형복지팀은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밑반찬 등 후원 물품 지원을 연계하고 정신 상담, 건강 검진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신뢰 관계가 형성된 이후에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주관하는 은둔 고립 청년 지원 사업에 연계해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1년 넘게 지속된 지원으로 A씨는 “사회 활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준비하고 있다.
내달부터 가족을 돌보는 청년과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가칭 청년미래센터가 울산에서 설치·운영된다. 고립·은둔 청년들의 사회 복귀를 지원할 수 있다는 기대가 이는 가운데 실태 조사가 없어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9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현재 25세 이상의 청년층 중 고립·은둔하는 청년을 조사하는 방법은 구·군에서 분기별로 시행하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과 제보, 도움 요청 등이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의 경우 단전·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의 빅데이터를 이용해 발굴한다.
하지만 구조 대상자 본인의 의지가 없거나 빅데이터 위험가구 사례에 해당되지 않으면 고립·은둔 청년을 발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오는 7월 설치되는 청년미래센터 역시 대상자가 직접 도움을 요청하거나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해야 사례 관리 대상 후보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일선 현장에서는 “실태 조사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관련 법이 없고 운영 지침 등이 없어 움직이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은둔형 청년들의 사회 복귀를 돕는 사업을 확대하면서, 정확한 실태조사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범 사업 기간 동안 도출된 다양한 문제점들과 함께 실태 조사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하고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청년미래센터에는 14명의 전담 인력이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을 발굴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가족 돌봄 청년에게는 연 최대 200만원의 자기돌봄비를 지급하고, 아픈 가족에게는 일상돌봄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고립·은둔 청년에게는 온라인상 자가 진단 및 도움 요청 창구를 마련해 대상자를 발굴하고 고립 정도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