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정부 산하 공공기관 339곳 가운데 57곳의 기관장 임기가 이미 종료된 상황에서, 울산지역 여권 유력 인사들의 기용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지역 여권 유력 인사 가운데 공공기관장 후보군에 올라와 있는 인사는 국민의힘 박맹우 전 사무총장과 박대동 전 의원 등 2~3명이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과 여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임기 후반의 키워드로 삼은 양극화 타개를 실현하고 의료·연금·노동·교육 개혁에 저출생 대응을 아우른 ‘4+1 개혁’을 완수할 인물을 발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진용을 구상 중이다.
인사 시기는 유동적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초유의 감액 예산안을 국회 예결위에서 단독 처리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대통령실은 국회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내년도 예산안의 법정 처리 시한은 2일이다. 그러나 야당의 감액 예산 강행이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예산안의 본회의 최종 처리를 놓고 여야가 극한 대치를 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윤 대통령의 인적 쇄신 타이밍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여기에 내년 1월20일로 예정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도 고려할 경우 본격적인 인사 발표는 연말이나 신년 초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내각에서 교체 대상으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재임한 장수 장관들이 거론된다.
총리 후보군으로는 6선인 주호영 국회부의장, 5선의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 호남 출신인 이정현 전 의원,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등이 하마평에 오른다.
임기 초반부터 재직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의 교체도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대규모 공공기관장 인사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내년 1분기 임기가 종료되는 자리도 38곳에 이른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