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수출길 막혀 경영난
거리두기에 배출량은 늘어나
단가 하락에 수거할수록 손해
타 지자체도 수거대란 염려
거리두기에 배출량은 늘어나
단가 하락에 수거할수록 손해
타 지자체도 수거대란 염려

다행히 일부 업체가 지자체 중재로 수거 재개에 나섰지만 타 지역에도 비슷한 움직임이 있어 코로나 사태가 재활용품 수거 대란까지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동구에 따르면 최근 민간 재활용품 수거업체들이 동구 관내 공동주택 6곳, 총 1549가구에 대한 재활용품 수거를 중단했다. 이에 이들 공동주택은 동구에 재활용품 수거업체와의 중재를 요청했고 현재 5곳의 공동주택이 새로운 수거업체와 계약을 맺은 상태다.
109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1곳은 아직까지 재활용품 업체와 계약을 맺지 못하고 있다. 기존에 수거를 맡고 있던 재활용품 업체는 단가 하락을 이유로 수거를 거부하고 있다.
현재 동구에는 300가구 이상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 52곳, 50가구 이상 300가구 미만 공동주택 87곳 등 총 139곳의 공동주택이 관리사무소나 부녀회가 자체적으로 계약한 민간업체를 통해 재활용품을 처리하고 있다.
재활용품 수거업체의 수거 거부 사태는 경영난 때문이다. 코로나로 사실상 재활용품 수출이 중단되면서 폐지와 플라스틱, 폐의류 등 재활용품은 쌓이는데 물량이 빠지지 않아 가격은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거기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으로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재활용품 배출량은 증가하는 추세다.
결국 재활용품을 수거·가공해도 수출할 곳은 없고 물량은 쌓이면서 수익이 감소해 오히려 재활용품 쓰레기를 수거할 수록 손해만 늘어나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재활용품 쓰레기 수거를 거부하는 업체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지난 8일 청주 재활용선별장업체와 공동주택 재활용수집운반업체가 재활용품 쓰레기 수거가 더이상 불가능하다고 기자회견을 열고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동구는 물론, 다른 지자체들 역시 이점을 걱정하고 있다. 중구와 북구의 경우 아직까진 동구처럼 수거를 거부하는 사례가 발생하진 않았으나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각 아파트에 재활용품 줄이기를 당부하는 공문을 보낸 상태다.
동구 관계자는 “재활용품 업체랑 아파트 사이에서 상황을 중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진 아파트와 업체 사이에서 수거 경비지원 등을 놓고 의견 차가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김현주기자 khj1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