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조선업계 글로벌 수주 점유율 8년래 최저
상태바
韓 조선업계 글로벌 수주 점유율 8년래 최저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5.01.0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이미지
자료이미지

지난해 한국 조선업계의 글로벌 수주 점유율이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조선업계는 1098CGT(표준선 환산톤수·250척)를 수주해 글로벌 점유율이 17%를 기록했다.

수주량은 2023년(1008만CGT)대비 9% 증가했지만, 글로벌 점유율은 한 해 전 20%에서 17%p로 3%p 줄었다.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글로벌 조선 수주 점유율이 10%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16년(15.6%) 이후 처음이다.

반면 중국은 지난해 4645만CGT(1711척)를 수주해 전 세계 수주량의 71%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수주량은 58%, 점유율은 11%p 올랐다.

이에 한중 간 점유율 격차는 2023년 40%p에서 지난해 54%p로 커졌다.

한국 조선업계의 이같은 수주 점유율 하락은 최근 국내 조선사들이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으로 선별수주 전략을 편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HD한국조선해양을 비롯해 국내 조선사들은 지난해 척당 평균 선가가 2억6000만달러를 웃도는 고부가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를 싹쓸이했다. 지난해 국내 조선사의 글로벌 LNG운반선 수주 점유율은 45.6%에 달한다.

지난해 전 세계 수주량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6581만CGT(2412척)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글로벌 수주량은 194만CGT(86척)로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했다.

이중 중국이 166만CGT(67척·86%)를 수주했고 한국이 7만CGT(3척·4%)를 차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수주 잔량은 전월 대비 167만CGT 증가한 1억5717만CGT로 조사됐다. 중국이 9078만CGT(58%), 한국이 3787만CGT(24%)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해 말 189.16으로 11월(189.18)보다 0.02 떨어졌다. 전년 동기보다는 6% 상승한 수준이다. 선종별로는 LNG 운반선 2억60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 1억29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 2억7500만달러 등으로 조사됐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타 여부 이번주 결정
  • 도서관 인근 편의점 ‘담배 뚫린곳’ 입소문 일탈 온상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박준 ‘지각’
  • 필름부터 AI이미지까지 사진 매체의 흐름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