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욱이 최근 권성동 원내지도부로부터 탈당 압박까지 받을 만큼 위기에 몰린 김 의원은 “아무런 잘못이 없는 내가 왜 당을 떠나야 하느냐”고 항변하면서 “절대 탈당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그렇다면 김 의원의 향후 정치 행보는 과연 어떻게 전개될까?
◇뉴스메이커 부상한 김상욱
‘탄핵정국’에서 뉴스메이커로 급부상한 김 의원은 최근 권성동 원내지도부로부터 탈당 압박을 받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8일부터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의 국회 재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진 김 의원에게 탈당을 권유했다.
이에 김 의원은 9일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비록 소수지만, 남아서 당이 바른길로 가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탈당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헌법과 국회법, 당헌·당규에 국민의힘은 당론이 아니라 양심에 따라 표결하게 돼 있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대해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 뒤 취재진과 만나 “당론이 결정되면 따라달라 요구하는 게 당연하다. 개인 생각을 표출하는 것과 당론에 반하는 것은 다르다”고 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권 원내대표 발언은 굳이 국민의힘에서 정치 활동을 할 필요가 있겠나, 탈당해서 본인이 원하는 대로 정치 활동을 하는 게 좋지 않겠나, 이런 차원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라고 탈당 압박에 가세했다.
반면 6선 조경태(부산 사하구을) 의원은 김 의원을 적극 엄호하고 나섰다.
조 의원은 9일 “국민의힘 당헌 60조에 국회의원은 헌법과 양심에 따라 국회에서 투표할 자유가 있다고 돼 있다. 이것을 부정한다는 말인지 되묻고 싶다. 책임을 물으려면 대통령을 빨리 출당시키든지 대통령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면서 원내지도부를 공격했다.
원내지도부는 나아가 경찰을 담당하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 의원에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로 상임위 사·보임 압박도 했다. 김 의원에 대한 탈당 압박에 이어 사실상 ‘백기투항’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관측이 여권 일각에서 나온다.
◇金 향후 정치행보 변수는
김 의원의 정치 행보는 윤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과 기각 여부, 조기 대선 여부 등과 맞물려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탄핵이 인용될 경우 조기 대선일정과 관련 △3~4월 벚꽂대선 △5~6월 장미대선 △9~10 단풍대선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이 경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재판 상황이나 여야 대선주자들의 주도권 다툼과 맞물려 대선 전후 부분 정계 개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다 여권의 유력 주자인 한동훈 전 대표도 물밑 몸풀기에 나선 상황이다. 김 의원이 친한동훈계인 현실에서 조기 대선 전후 범여권의 가팔라지는 정치 상황과 연동되면서 ‘의외의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