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은 18일 국회에서 열린 AI 경쟁력 강화 협의회에서 이같이 뜻을 모았다고 김상훈 정책위의장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당정은 우선 국가 AI 인프라 조기 확충, 관련 연구 개발 환경 및 컴퓨팅 생태계 전반에 성장 기반 확대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에 민관 협력으로 연내 고성능 GPU 1만장을 확보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일찍 개시하도록 하고, 기존 2000장이던 최첨단 GPU 보유량을 내년 상반기까지 2만장으로 10배 늘려 기업과 연구계가 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고성능 GPU 확보 계획과 관련해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올해에는 아무래도 (엔비디아의) H200 위주가 될 것 같다. 엔비디아의 B200이 안정화되면 B200 쪽으로 초점을 맞추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아직 예산이 확정이 안 됐기 때문에 직접 주문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지만, 엔비디아 쪽과 접촉해서 논의 중”이라고 했다.
당정은 이같이 구축한 AI 인프라로 우리나라 자체 AI 기반 모델 10개가 오픈AI의 GPT 등 세계적 수준에 버금가는 AI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국민의힘은 AI를 비롯해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첨단전략기술 학과 대학생들에게 획기적인 장학제도를 도입할 것과 중장기적으로 무상교육 실현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교육 당국과 협의가 전제돼야 하는 부분이다. 국내 교육기관에서 졸업 후에 국내 산업에 봉사한다는 전제하에 무상 교육을 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