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부, 코로나 위기에
‘자발적 임금 동결’ 검토
내달 노사협서 논의 예정
‘자발적 임금 동결’ 검토
내달 노사협서 논의 예정

현대차 노조는 지난 17일 노조소식지를 통해 “코로나의 전세계 확산에 따라 도시봉쇄, 여행·이동 제한, 학교폐쇄 등의 조치가 내려지며 경기하락과 대량실업으로 전 세계 노동시장에 거대한 충격을 주고 있다”며 “실제 국제노동기구(ILO)가 발표한 조사 보고서를 보더라도 역대급 위기인 것만은 틀림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에 “독일의 금속노조와 사용자간 체결한 ‘위기협약’이 올해 임단협을 앞둔 현대차 노사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고 있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현대차 노사도 독일 금속산업 노사의 ‘위기협약 체결’에서 해결 아이디어를 얻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독일 금속노조와 사용자단체는 올해 3월31일 만료되는 임금협약을 연말까지 연장했다. 이는 임금도 동결한다는 의미다. 대신 노사는 특별상여금을 12개월로 분할 지급하는 방안으로 조업 단축시 독일 고용청으로부터 받는 급여 산정 기준을 인상했다.
독일 고용청은 경기침체로 일감이 줄어들 경우 사업장 전체 노동자의 33% 이상에게, 임금손실이 생길 경우 손실 임금의 60~67%를 조업단축급여로 보전해준다. 또 사업장별로 연대기금도 조성해 일감이 줄어든 노동자에게 우선 지원하는 방식으로 조업단축과 임금동결로 인한 손해의 80%까지 보전하고 있다.
노조는 “우리가 독일처럼 할 수 있는 인프라는 없지만 코로나 위기에도 일자리를 지켜야 하는 대명제 앞에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생존을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핵심은 노조가 임금 인상을 자제하는 대신 회사와 정부는 노동자의 고용을 보장하고 임금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아직 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임금협상 대신 5월초로 예정된 노사협의회에서 사측과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그동안 임단협 때마다 파업과 투쟁 이미지가 강했던 현대차 노조가 먼저 임금 동결 사례를 제시한 것은 그만큼 현 상황에 대해 노조 스스로도 위기 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주요 증권사들은 코로나 여파로 현대차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줄어든 70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