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62)청산은 내 뜻이오-황진이(1506~1567)
상태바
[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62)청산은 내 뜻이오-황진이(1506~1567)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5.04.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흐르는 물처럼 변해버린 임의 사랑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 못 잊어 우러 예어 가는고. <해동가요>

 

▲ 한분옥 시조시인
▲ 한분옥 시조시인

송도 기생이었던 황진이는 고려에 뿌리를 둔 고려사람이라는 자존감이 높았다. 청산을 그냥 산으로 보았느냐. 명월(明月)이 빈 산을 찍어내듯 비추어 대낮같이 밝은 산을 말하는 것이다.

녹수 흘러간들 제 자리를 꿋꿋이 사계절을 지키는 것이 여인의 절개라고 노래한다. 별곡(別曲)은 ‘이별노래’ 만은 아니다. 고려의 속요에서부터 조선의 민요를 통털어 말한다. 중국의 노래와는 다른 이 땅의 노래라는 의미도 있다.

하필 왜 여성이 푸른 산을 노래로 불렀을꺄. 별곡은, 예나 이제나 춤과 연주에 맞춰 부르는 노래인 것이다. 악기의 소리와 리듬을 살려 노래로 불린 것이 시조였으니 위 시조 역시 별곡이다.

비록 기생의 신분이었지만 만고에 푸른 청산을 빗대어 자신의 기개나 성정을 읊은 것이다. 이쯤은 돼야 더불어 노래할만하고 시조창으로 화답 시를 읊을 만 하지 않았을까.

지금도 풍월을 갖추지 않은 뱅그래 얼굴만으로 부른 권주가에 어디 술맛이 나겠느냐 그 말이다. 남자는 ‘정’을 주었다가도 물처럼 흘러가 버리지만, 청산이야 어디 변하는가. 이 시는 사랑 철학을 담았다. 청산 아래 흐르는 물처럼 흐르고 흘러가라. 물같은 사내여! 흘러서 가게나. 울긴 왜 울어외나. 님 답지 못하게 울면서 흘러가는 저 물이 그저 안타까울 뿐이다.

흐르는 물가에서 나눈 사랑의 애틋한 기억들이 하염없다. 문득 청산만 혼자 남아있음이, 흘러가는 물을 붙잡을 수 없음이 또한 서럽다.

하릴없이 그리워 다시 냇가에 나와 앉았다. 물속에 비친 산 그림자마저도 그냥 그 자리에 있다. ‘보내고 그리는 정’을 혼자 울지라도. 물 흐르는 이치 속에 사랑도 변한다는 이치를 깨닫는다. 이놈의 사랑을 어쩌란 말인가. 사랑에 취하나 술에 취하나 취하는게 인생이라면 울긴 또 왜 울어 사랑아!

한분옥 시조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