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중구 B-04(북정·교동) 재개발사업 과정에서 잇따르는 잡음(본보 지난 23일 7면 보도)에 일부 대의원과 조합원들이 투명성과 정상적인 운영을 촉구하고 있다. 또 울산시와 중구청 등 행정기관의 철저한 관리감독을 위한 ‘재개발 클린업시스템’ 도입도 요구하고 있다.
23일 현금청산자대책위 등에 따르면 재개발조합 보상평가 과정에서 절차의 정당성을 놓고 조합과 수개월째 갈등을 빚고 있다. 이들은 중구청과 조합 사무실 등을 잇따라 점거하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시는 오는 29일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수용재결 심의를 벌여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현금청산자의 손을 들어주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이라는 것에 우세를 두는 시각이 많다. 국토부가 유권해석을 요구하는 답변에서 개정된 도정법·시행령을 따르는 것이 맞다고 해석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일부 대의원들과 조합원들은 조합의 비상식적이고 이해할 수 없는 조합 운영을 성토하고 있다. 또 관리감독해야 할 울산시와 중구청 등 행정기관은 뒷짐을 진 채 나몰라라 하고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600여명의 조합원들은 온라인 상으로 모임을 만들어 지난 3월께부터 조합의 운영에 대응해나가기로 하고 활동중이다. 조합원들이 직접 뭉쳐 조합 운영의 투명성을 요구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운영을 요구하는 건 처음일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모임 대표 A씨는 “지난 1월 대의원회의에서도 이사 선임 투표 결과 직접투표보다 3,5배 많은 표가 서면으로 결의됐던 점, 조합장과 일부 이사의 급여 셀프인상을 의결하는 등 등 현재 조합장과 정비업체가 마음대로 조합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