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부동산 대출 규제가 강화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울산지역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18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71건)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구군별로 보면 중구(66건→16건)는 5분의 1 이하 수준으로 급감했고, 북구(100건→40건)와 울주군(69건→31건)도 절반 이상 줄었다. 남구(103건→67건), 동구(33건→27건)도 전년대비 뚜렷하게 감소했다.
규제 강화 일주일 전과 비교해도 울산의 아파트 거래량은 많게는 절반에서 20% 이하까지 감소폭이 가팔랐는데, 남구(112건→67건) 북구(65건→40건) 동구(33건→27건) 중구(43건→16건) 울주군(45건→31건) 등이었다.
울산은 올해 들어 5월까지 누적 아파트 거래량(등기 기준)은 9340가구로 1년 전(9409가구)보다 소폭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 시장도 얼어붙으면서 거래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아직 울산을 비롯한 지방의 경우 정책대출인 디딤돌 한도가 낮아진 것을 제외하면 주택담보대출 대출 제한이 별도로 없지만, 정부 규제 강화로 시중은행들이 주담대를 포함한 대출 고삐죄기에 나서면서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아파트는 총 577건이 거래돼 직전 일주일(6월20일~26일) 1629건보다 1052건(64.6%) 줄었다.
특히 이번 대책 이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도봉) 등 외곽 지역도 거래가 얼어붙었다.
노원(143건→60건)은 58.0%, 도봉(48건→25건)은 47.9%, 강북(21건→15건)은 28.6% 각각 줄었다. 금천은 73.1%(26건→7건), 관악은 62.7%(59건→22건), 구로는 65.8%(79건→27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지역은 6억원 이하로 주담대를 받아도 평균 시세 안에서 아파트를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수요자들이 매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지만, 강화된 대책에 찬서리를 맞은 모양새다.
또 최근 정부가 주담대 한도 6억원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의 개인사업자대출도 이달 중 전수 점검하기로 해 이 또한 시장 수요에 영향을 줄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수도권을 타깃으로 한 규제지만, 지방 매수 수요 위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번 대책이 직접적 부동산 대책이 아닌 만큼 앞으로 수요와 공급을 총망라한 대책이 나왔을 때 시장은 또 움직일 수 있을것”이라고 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