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순환경제·탄소중립을 위한 제품 전주기 이력관리 인터넷체제기반 구축 및 실증사업’을 본격화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5년 지역 자율형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 공모에 선정되면서 추진되는 것이다. 국비 13억5000만원을 포함해 시비 9억5000만원, 민간 4억원 등 총 27억원이 투입된다. 사업 기간은 2026년 12월까지다.
이번 프로젝트는 탄소 배출이 많은 울산 산업의 특성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울산은 전국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산업 중심지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유럽연합(EU)이 2023년 발표한 ‘디지털 제품여권(DPP)’ 제도 등 글로벌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울산 제조업체들이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 기반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역의 디지털 혁신 역량을 보유한 기관과 기업들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컨소시엄은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을 주관기관으로 UNIST, (주)에이테크, 체인트리(주)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이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실증을 통해 기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표준인 GS1 기반의 이력추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 제품여권 통합 API 시스템 및 웹 URI 시스템 개발, 탄소발자국 추적 및 DID(분산식별자) 기반의 서비스 구현,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 연동 기능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한다. 이 과정에서 실제 제조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실증을 진행하며,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수준의 기술 완성도를 확보할 예정이다.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은 플랫폼 품질인증 확보와 탄소발자국 산출 표준화 연구를 추진하고, (주)에이테크는 디지털 제품여권 시스템 구축과 정보통합관리, 체인트리(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연동 및 스마트컨트랙트 기술을 개발한다. UNIST는 GS1 코드 체계를 기반으로 전기차 배터리 등의 물류 최적화 알고리즘을 개발해 제품 추적성과 물류 효율성을 높인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주력 제조업체들이 국제 환경 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산업 생태계 혁신이 지역 내 중소기업까지 파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도 병행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는 울산의 산업 환경을 고려한 실질적인 변화의 시작”이라며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 체계를 구축하고, 울산이 디지털 기반의 탄소중립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