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양산시에 따르면, 국토안전관리원이 2025년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지반탐사’ 사업에 양산시가 신청한 8곳이 모두 선정됐다. 이는 경남에서 가장 많은 선정 사례다.
이에 양산시는 지하 안전관리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나섰다. 선제적으로 시는 지반 침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에 들어갔다.
상수도 시설의 경우 정기적인 안전 진단과 점검을 실시하고 있는가 하면 하수도 분야에서는 20년 이상된 노후 하수관로 18.4㎞에 대한 정비사업 기본·실시설계를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면지역 하수관로 3.57㎞에 대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차집관로 정비사업을 위한 국비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지반 침하 사고 발생시 철저한 보고와 신속한 상황관리 체계를 통해 초동 대응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반 침하 우려가 있는 대형 공사장에 대해서도 지하안전 전문가의 컨설팅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토목설계 전문가는 “지반 침하는 단순히 지하공간만의 문제가 아니라 굴착공사, 노후 인프라, 지하매설물 관리 등 다층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구조적 문제”라며 “국가 차원의 통합적 지하 안전관리체계 작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국가적 재정 규모 확대와 함께 지자체에 대한 지원이 적극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반 침하는 지하개발 또는 지하시설물의 이용·관리 중에 주변 지반이 내려앉는 현상을 말한다.
김갑성기자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