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인 반구대 암각화를 지키기 위해 울산 시민들은 하루 평균 3만t에 가까운 물을 흘려보내며, 문화재 보존과 생존 사이의 딜레마를 오랜 기간 감내해 왔다. 그러나 수위를 낮춘 만큼 식수 공급이 불안정해졌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수십 년째 표류 중이다.
김 의원은 지난 20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울산 시민 식수 확보를 위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이 지난 2021년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졌지만, 지방선거 이후 단체장이 바뀌면서 합의가 뒤집히고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갔다”며 “정치적 변수에 따라 국가적 사업이 좌초되는 악순환은 반드시 끊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울산의 용수 부족 문제를 지자체 협의에만 맡겨둘 것이 아니라 환경부가 중앙정부 차원에서 직접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더는 지체할 수 없다”고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울산 시민의 식수 문제 시급성에 대해 잘 알고 있고, 환경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이번에는 반드시 결실을 보아야 한다”며 “가급적 올해 안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한편, 울산 시민들의 안정적인 식수 공급을 위해 끝까지 챙기겠다”고 밝혔다고 김 의원실은 전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