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노사 자문위원회는 그 전에도 있었지만 이번 자문위원회의 성격은 좀 다르다. 코로나19 전과 후의 자동차 산업이 판이하게 다르고 소비자들의 행태도 불과 몇 개월 사이에 달라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이번 노사의 자문위원회 확대 구성은 현대자동차의 생존과 혁신에 한 획을 그을 큰 전환점이라고 할만하다. 이처럼 노사가 한 마음으로 위기를 인식하고 대안을 찾으려 노력한 것은 근래에 없었던 일이다.
현대자동차 노사가 위기를 새롭게 인식한 계기는 갑자기 불어닥쳐 지구촌을 뒤덮어버린 코로나19였다. 지난달 중순 현대차 노조는 노조소식지를 통해 “독일의 금속노조와 사용자간 체결한 ‘위기협약’이 올해 임단협을 앞둔 현대차 노사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고 있다”며 위기인식을 공유했다. 임금인상도 자제할 뜻을 비쳤다. 그만큼 국내 자동차 산업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지난 2월 중국에서 코로나19가 극심할 때 중국의 협력사 부품공장이 가동을 중단한 것은 충격이었다. 그러자 국내 공장 대부분의 라인이 멈춰 섰다. 중국 협력사가 생산해왔던 통합배선뭉치를 공급받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세계는 지금 코로나19로 각국마다 장벽 아닌 장벽이 쳐진 상황이다. 또 코로나19의 유행이 완화되더라도 제2, 제3의 코로나19 사태가 오지 말라는 법은 없다. 따라서 노사는 코로나19 전과 후의 상황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번에 현대차 노사가 구성한 고용안정위원회의 역할도 큰 틀에서 보면 코로나19에 따른 국내 자동차 산업을 분석하고 장기적으로 전기차 등 미래차 산업을 앞당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현대차그룹 산하 글로벌경영연구소는 계열사에 배포한 보고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트렌드 변화’를 통해 차량호출·공유 서비스 대신 구매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이동수단을 소유하려는 고객의 욕구가 더욱 커지는 등 자동차 업계에 새로운 경영 환경이 도래할 것이라는 말이다. 이번에 구성된 현대차 노사 고용안정위원회는 고용문제도 중요하지만 급변하는 코로나19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고 미래를 대비해야 할지 그 점에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 그래야 고용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