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에 따르면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정부 세종청사 브리핑에서 “96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 구축을 위해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화재 영향이 적은 1~6전산실 시스템부터 재가동 중이며, 5층 전산실은 분진 청소 후 재기동을 계획 중이다. 서버 등 정보시스템은 정전기, 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전문업체가 작업하며, 이 작업은 1~2주 정도 소요될 전망”이라고 공지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1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 시스템이 복구돼 가동됐고, 이 중 1등급 업무는 전체 36개 중 16개, 44.4%가 정상화됐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던 우체국 우편·금융서비스가 우선 복구됐다.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하는 정부24 서비스는 이날 오전 8시30분께 복구됐다.
복구되는 시스템은 수시로 네이버, 다음 등을 통해 알릴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화재로 전소된 주요 정보시스템 96개 목록도 공개했다. 그간 화재 피해로 목록 정리가 쉽지 않아 뒤늦게 공개하게 됐다고 정부는 양해를 구했다.
96개 시스템 목록에는 1등급인 통합보훈(국가보훈부), 국민신문고(권익위),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안전디딤돌(행안부)와 노사누리(고용노동부), 대테러센터 홈페이지(국무조정실), 범정부데이터분석시스템(행안부), 정책브리핑(문화체육관광부)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장애 복구시간을 고려해 9월 재산세 납부 기한 등 각종 세금 납부 및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했다. 기존 오프라인에서 서류를 발급받을 때 발생하는 수수료도 전면 면제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