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방사청의 이번 결정에 대해 HD현대중공업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HD현대중공업은 “기소된 직원 9명이 모두 같은 사건번호로 기소된 동일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방사청이 입장을 바꿔 이중제재를 내렸다”며 “의견 제출 기회조차 부여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결정이 내려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정한 경쟁이 불가능한 ‘기울어진 운동장’이 된 만큼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앞서 방사청은 지난달 30일 정례브리핑에서 HD현대중공업 보안사고에 따른 감점을 올해 11월 만료에서 내년 12월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오는 11월까지 적용되던 1.8점 감점은 그대로 유지되고, 이후 내년 12월까지 1.2점이 추가 적용된다. 보안감점은 방산업체의 보안사고에 대해 입찰 과정에서 불이익을 주는 제도로 평가 점수에 직접 반영된다.
이번 조치는 KDDX 사업자 선정 방식을 확정하기 직전에 내려져 논란을 키우고 있다. KDDX는 2030년까지 차세대 구축함 6척을 국내 기술로 건조하는 사업으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수년째 치열하게 경쟁해오고 있다.
기본설계를 맡은 HD현대중공업은 기존 관례에 따라 수의계약으로 상세설계와 선도함 제작을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한화오션은 경쟁입찰 방식을 요구해왔다. 이번 감점 연장으로 HD현대중공업은 불리한 위치에 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울산 지역에도 적잖은 파급이 불가피하다. HD현대중공업은 방산 부문 인력과 협력업체 대부분이 울산에 기반하고 있어 KDDX 사업 수주 여부가 지역 고용과 하도급 물량에 직결될 수 밖에 없다는 우려다.
업계 안팎에서는 울산이 국내 방위산업의 핵심 거점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안이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조선업 전체의 신뢰와 경쟁력에도 직결된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해외 수출전에서는 ‘원팀’을 꾸려 협력해왔던 만큼, 이번 갈등이 향후 해외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역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보안감점 연장으로 수의계약이 무산될 경우, 경쟁입찰에서 단 1점 남짓의 차이가 승패를 가를 수 있다”며 “울산 지역 경제에도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