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청년 인구가 처음으로 70대 이상 고령 인구보다 적어졌다는 충격적인 통계가 나왔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630만2000명으로 통계 작성 100년 만에 처음으로 70대 이상(654만3000명)에 역전됐다. 출산율 급락과 고령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인구 감소라지만, 문제의 본질은 그보다 깊다. 줄어든 청년 세대가 사회 안에서조차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청년이 사회의 주체에서 배제되고 고령 인구가 중심에 놓이는 현상은 단순한 인구통계의 변화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을 뒤흔드는 구조적 위기다.
울산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2024년 11월 기준 울산의 주민등록 인구 중 20대 비율은 전체의 10.28%에 불과하다. 반면 50대가 18.27%, 60대가 16.29%를 차지하며 도시의 중심 세대가 됐다. 제조업 기반 도시라지만, 정작 청년이 머물 자리는 좁아지고 있다. 대학을 졸업한 뒤 지역에 남는 청년은 드물고,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 멈추지 않는다. 청년 유출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며 지역의 활력이 서서히 식어가는 모습이다.
문제는 청년층의 사회 진입 통로가 갈수록 막히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8월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새 1.2%p 하락했고, 실업률은 5.0%로 상승했다. 대기업의 경력직 위주 채용이 늘면서 신입이 설 자리는 줄었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경력’을 요구받는 현실, 그 앞에서 많은 청년이 출발선조차 밟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일자리는 임금과 복지에서 대기업과 격차가 커 매력도가 떨어지고, 그 결과는 미취업 장기화로 이어진다.
청년층의 위축은 곧 국가 경제의 활력 저하로 직결된다. 일할 인구가 줄면 생산성과 소비가 함께 위축되고, 혁신의 동력도 사라진다. 특히 울산처럼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도시는 청년 인력의 공백이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숙련 인력의 세대 교체가 지연되면 산업 생태계 전체가 늙어간다. 인구 감소보다 더 심각한 것은, 남아 있는 청년들이 일할 의욕과 기회를 잃는 것이다.
이제 청년에게 다시 ‘기회와 활력’을 돌려줘야 한다. 지방정부는 청년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주거·문화·일자리의 연결망을 마련하고, 기업은 단기 성과 중심의 인력 운용에서 벗어나 신입 인재를 길러내는 투자로 눈을 돌려야 한다. 중앙정부도 청년 정책을 복지의 일부가 아닌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다뤄야 한다. 청년정책은 ‘지원’이 아니라 ‘기반 조성’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