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울산의 9월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지수는 130.16으로 전년(124.68)보다 4.4% 상승했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쌀이 16.8%, 빵·곡물이 7.4% 올랐다. 빵류는 전국 평균 상승률(약 6.5%)을 웃돌며 지역 외식·제과 물가 전반의 상승세를 주도했다.
울산의 빵 물가지수는 128.82로 전년 대비 7.4% 상승, 빵에 많이 들어가는 우유·치즈·계란도 128.34(전년 대비 3.5%)를 기록했다. 연초 이후 이어진 생활물가 상승세 속에서 제과 원재료 전반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빵값 상승은 원재료 수입 의존도와 인건비 부담이 겹친 결과로 분석된다. 빵 제조 비용에서 원재료 비중은 약 50%, 이 중 밀가루와 설탕이 70%를 차지한다.
밀가루와 설탕, 버터, 견과류 등 핵심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제과 원가가 높아졌고 장시간 영업에 따른 인건비 부담도 커졌다. 빵 제조 원가의 절반이 재료비에다가, 인건비 비중만 30% 가까이 차지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빵 소비는 늘었지만 제과점 업계는 한파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문을 닫은 빵집은 3591곳에 달했고, 올해도 7월까지 1747곳이 폐업했다. 하루 평균 10곳이 문을 닫는 셈이다.
지역 제과업체 점주는 “원가 상승을 판매가에 모두 반영하기 어렵다”며 “임대료와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고민하는 곳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프랜차이즈 빵집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국내 양대 제빵기업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각각 1~4% 수준으로 전체 외식업 평균을 밑돌았다.
일단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제당 3사의 설탕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해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빵 원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설탕 가격이 인위적으로 유지될 경우 제과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담합 적발 시 강력한 제재 방침을 예고했다.
한편, 빵값 상승세는 소비자 체감 물가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베이글은 3년 새 44%, 소금빵은 30% 올랐다. 인기 품목일수록 가격 인상폭이 크고, 중저가 제품도 대부분 3000~4000원대에 형성돼 있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값싼 대체품을 찾거나 프랜차이즈 중심으로 소비를 옮기면서 동네 빵집의 입지는 더 좁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사진=오상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