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자 은행권이 본격적인 관리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11월과 12월 영업점별 부동산금융상품(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 취급 한도를 월 10억원으로 제한했다. 지점당 1~2건의 대출만으로도 한도가 소진되는 수준이다.
정책성 상품을 제외한 입주자금대출도 신규 취급을 선별적으로 진행하거나 한도를 줄이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연말까지 대출상담사를 통한 신규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전면 중단했고, 농협은행 역시 모집인 채널을 통한 주담대와 전세대출의 월별 한도를 이미 소진했다. 하나은행도 모집법인을 통한 11월 실행분 접수를 마감하고 12월분만 받고 있다.
지난 16일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09조6945억원으로, 전월보다 7097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전체 잔액도 같은 기간 1조5500억원 증가해 일평균 970억원가량 늘어난 셈이다.
7~8월에 비해 증가폭은 둔화했지만, 여전히 대출 수요는 꾸준한 상황이다.
은행권은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자 한도 관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기존 대비 절반으로 줄이면서 일부 은행은 이미 연간 목표치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이 지난 15일 주담대 위험가중치 하한을 기존 15%에서 20%로 상향하고, 시행 시점을 내년 4월에서 1월로 앞당기기로 하면서 은행권 부담은 더 커졌다.
위험가중치가 높아지면 은행은 동일한 대출을 취급하기 위해 더 많은 자본을 쌓아야 해 대출 공급 여력이 줄어든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총량 관리와 자본 규제 강화가 동시에 이뤄지면서 대출 심사가 한층 까다로워질 것”이라며 “내년에도 주담대 공급이 이전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오상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