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경남도교육청, 양산교육지원청, 양산시청 등 주요 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소토초 교육현안과 미래발전방향 협의’를 가졌지만, 결론 도출에는 실패했다.
1943년 개교한 소토초는 주변의 난개발로 공장과 고속도로에 둘러싸인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2005년부터 이전 요구가 끊이질 않았다. 하지만 2008년 20년 임대형민자사업(BTL) 방식으로 건립한 체육관이 발목을 붙잡았다.
‘교육부 심사와 예산 마련’에도 어려움이 뒤따라 이전 논의는 20년 넘게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체육관 임대계약이 끝나는 2028년 8월께에 맞춰 학교 이전을 추진하되, 경남도교육청 자체 심사와 예산으로 사업을 추진키로 방향을 잡았다.
여기에 어곡초 사례처럼 양산시가 폐교 부지를 매입해 공공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하지만 폐교되는 부지 처분 예산을 두고 경남도교육청과 양산시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여전히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학생 수 감소다. 교육청은 학생 수 급감으로 인해 소토초가 존폐 위기에 놓였다며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올해 3월 기준으로 소토초의 학생 수는 80명이다. 해마다 학생 수가 줄어들어 이전이 가시화되는 2028년에는 39명으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교육청은 ‘이전 재배치’ ‘학교 유지’ ‘학교통폐합’ 등 3가지 대응방안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소토초 학부모들은 “이전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학생과 학부모에게 희망고문만 하다가 수십년이 지난 지금 학생 수 감소로 이전이 더 힘들다는 핑계를 대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김갑성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