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지난 21일 울산 근로복지공단 본부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내년에 개원하는 울산 산재병원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질 매우 중요한 병원”이라며 차질 없는 개원과 운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22일 밝혔다.
울산 산재병원은 울산 최초의 공공의료기관으로, 내과, 응급의학과 등 종합병원 필수 진료과를 포함해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18개 진료과를 갖추고 내년 7월 개원 예정이다.
김 의원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려워 울산지역 내 소아청소년과 병·의원이 계속 줄고 있다”며 “산재병원이 지역 의료 공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근로복지공단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장해진단서 발급을 위해 병원을 전전해야 하는 산재근로자들의 현실을 짚으며, 공단의 소극 행정을 비판했다.
장해진단서는 산재 근로자가 장해급여를 신청할 때 필요한 필수 서류지만, 진료 병원이 폐업하거나 주치의가 퇴사하면 다른 병원에서 진단서 발급을 거부하는 사례가 잦아 산재근로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 의원은 “공단은 공단병원을 통한 진단서 발급을 안내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지사에서 민간병원만 안내하고 공단병원에서는 진단서 작성이 어렵다고 한다”며 “근로복지공단의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종길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이처럼 세부적인 상황까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문제를 점검한 뒤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김 의원실은 전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