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300곳 조사
50.3% 결정하지 못했고
생산량·매출액 타격 등에
쉬지 않는다도 21% 달해
국내 중소기업 가운데 절반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오는 17일에 실제 휴무할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50.3% 결정하지 못했고
생산량·매출액 타격 등에
쉬지 않는다도 21% 달해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휴무계획을 조사한 결과 50.3%는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휴무를 계획한다는 중소기업은 10곳 중 3곳에도 미치지 못하는 28.7%였고, 쉬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도 21.0%였다.
휴무를 결정한 기업들은 △정부의 내수 살리기 적극 동참 △코로나 장기화로 지친 심신회복 및 직원들의 사기진작 △관공서·은행 등 휴업으로 업무처리 불가능 등을 꼽았다. 반면 휴무하지 않는 이유로는 가동 중단 시 생산량·매출액 등에 큰 타격, 납품기일 준수를 위해 휴무 불가능 등을 들었다.
임시공휴일 지정 효과에 대해서는 코로나로 가계소득과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휴일지정에 따른 소비개선 효과가 크다는 응답이 35.7%로, 효과가 작거나 없다는 응답(18.3%)의 2배에 육박했다.
중기중앙회측은 “코로나의 장기화로 지친 국민들의 휴식시간 보장과 내수진작 등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기대감은 크지만 상당수 중소기업은 매출액 감소나 납품기일 준수 등에 대한 걱정으로 휴무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임시공휴일을 감안한 대기업들의 납품기한 연장 등으로 많은 중소기업 근로자들도 임시공휴일에 쉴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가 확산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