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뿐만 아니라 이들의 협력사인 중소·중견기업이 밀집한 산업도시 울산에 일자리를 찾아오는 젊은 인구가 많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안정적인 주거지는 크게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 고령화가 급속화 하면서 근로자 확보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울산으로 일자리를 찾아오는 젊은 근로자들을 위한 거주공간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9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울산에서 운영 중인 매입임대주택은 4300여가구로 이 중 청년층에 배정된 물량은 2%에도 못미치는 81가구에 불과하다.
나머지 4200여가구는 지자체와 협업해 저소득·한부모·장애인 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에 공급되는 물량이 많고, 일부는 신혼·신생아 가구에 배정됐다.
청년매입임대주택은 LH에서 주택을 매입해 청년(만19~39세)과 대학생, 취업준비생에게 임대하는 주택이다.
시중 시세의 40~50%의 저렴한 임대료와 보증금만 내면 되고, 자격을 충족하면 최장 10년 거주할 수 있어 주거 안정성이 높다.
울산에 반해 인근 부산은 전체 LH매입임대주택 1만여가구 중 청년층 공급 물량은 전체 20%인 2000여가구에 달한다.
이에 LH가 올해 하반기 신규로 접수받고 있는 LH매입임대주택 중 울산은 청년 물량은 한 곳도 없고, 신혼·신생아도 56가구에 불과하다. 부산에서는 이번 하반기 신규 모집에 신혼·신생아 100가구를 모집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울산지역에는 최근 남구 신정동과 성안동 등지에 울산시가 건립해 운영하는 청년임대주택이 있다. 하지만 안정적인 주거에 대한 울산 청년층의 수요를 대변하듯 모집 경쟁률이 두자릿수에 육박하는 등 입주 경쟁이 치열하다.
현재 울산시가 공급해 운영 중인 청년임대주택은 남구 신정동 38가구, 중구 성안동 36가구 등 74가구다.
중구 태화동(16가구), 남구 달동(26가구), 삼산동(2곳 31가구·23가구), 동구 방어동(36가구), 양정동(18곳) 등 6곳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또 중구 성안동 등 3곳에는 신축매입 약정형 임대주택(청년형) 270가구를 추진하는 등 청년층 주거 지원을 확충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기준 울산의 1인가구 14만6000명 중 취업가구는 9만8000명으로 취업을 위해 울산으로 온 젊은 인구가 다수인데, 이들이 울산을 떠나지 않고, 정주할 수 있게 안정적인 주거환경 조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 기숙사나 주거비 지원이 어려운 중소·중견기업의 인력확보를 위해서라도 울산의 청년임대주택 공급 수준을 부산 등 타지역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본부 차원에서 지역별 임대주택 수요에 따라 청년·신혼·신생아 등 분야별 수요 정책적으로 결정하고, 대상 주택을 매입한다”며 “부산은 대학이 많아 청년 주택 수요가 높아 울산 대비 청년매입임대주택공급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