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표로 첫 국회연설
지역균형발전 당위성 강조
여야정 정례대화 재가동 등
통합의 정치 실천방안 제안
지역균형발전 당위성 강조
여야정 정례대화 재가동 등
통합의 정치 실천방안 제안

이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취임 후 첫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가장 상징적, 효과적인 대안으로 행정수도 이전이 제안됐다”면서 “국회 내 균형발전특위가 조속히 가동돼 이 문제를 결정해주기 바란다”면서 야당에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이 대표는 “수도는 여전히 서울”이라고 전제한 뒤 “서울은 쾌적하고 품격있는 국제도시로 더욱 발전시키겠다. 또한 2단계 공공기관 이전과 혁신도시 추가지정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면적은 국토의 12%에 불과하다. 그 수도권에 사는 주민이 올해 처음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면서 “1000대 기업 본사의 75%도 수도권에 있다”고 했다.
이 대표는 또한 “수도권은 비만을 앓고 있다. 과밀은 수도권 주민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반면에 대부분의 지방은 경제 쇠퇴와 인구 감소에 허덕이고 있다”며 “지방소멸은 이론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난지원금의 맞춤형 지급 방침에 대해 “고통을 더 크게 겪는 국민을 먼저 도와드려야 한다”며 “그것이 연대이고, 공정을 실현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바이러스는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그 고통은 평등하지 않다”고 했다. 이어 “동시에 어느 국민도 부당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사각지대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 관점으로 정부는 올해 네 번째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하고 있다”며 4차 추경안의 조속한 처리를 여야에 당부했다.
이 대표는 “국난을 헤쳐가는 동안에라도 정쟁을 중단하고 통합의 정치를 실천하자”며 “사실상 중단된 여야정 정례 대화를 다시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또 “여야의 비슷한 정책을 이번 회기 안에 공동 입법하자”며 감염병 전문병원 확충, 벤처기업 지원, 여성 안전 같은 4·15 총선 공통공약, 경제민주화 실현, 청년의 정치참여 확대, 재생에너지 확대 등 공통 정강정책을 사례로 들었다.
그는 “만약 반대를 위한 반대가 있다면 단호히 거부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 한 대화로 풀지 못할 문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