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는 ‘공공 장소의 공간 개선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가들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우리동네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목표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사업수행기간이 내년 2월까지로 5개월여에 불과한데다, 일자리에 초점을 맞춰 한팀에 37명 내외가 참여하게 되므로 예산 나눠주기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울산에서도 5개 단체에 모두 185명 이상의 미술가 등이 참여하게 된다.
무엇보다 큰 걱정거리는 작품성이다. 공공장소에 노출되는 공공미술은 대중성과 예술성 두가지를 모두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자칫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아예 수준이 못 미치면 작품은커녕 시민정서를 위협하는 흉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5개월여만에 각기 개성이 다른 30여명 작가들의 의견을 조율해서 지역정서에 부합하는 완성작을 만들어내는 것도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차라리 지자체가 예산을 들여 작가의 완성된 작품을 구입하는 것이 나았을 것이라 말이 나오는 이유다.
가장 쉬운 공공미술로는 벽화와 조각품 설치가 꼽힌다. 벽화는 시간이 지나면 색깔이 바래기 마련이라 지속적인 관리 없이는 흉물이 되기 십상이다. 조각품의 경우도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상 작품 제작비 보다는 일자리에 예산이 치우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작품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예산낭비 보다 더 걱정되는 것이 공공미술이라는 이름으로 시민 정서를 어지럽히는 흉물의 양산(量産)이다. 문체부는 흉물스런 작품 양산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미술 프로젝트 자문위원회와 지역별 자문위원회를 운영해 작품의 예술성과 실행 가능성 등을 보완해 나가도록 조치했다고 한다. 이제 남은 과제는 이들 자문위원회의 활발하고도 엄중한 활동이다. 공공미술은 완성, 설치되고나면 개선이나 철거가 어렵다. 20억원이나 되는 세금이 낭비되지 않고 도심 곳곳에서 아름다운 작품을 만나게 하려면 단계별 사전심의를 강화하는 방법 외에 달리 도리가 없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