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20억원 ‘공공미술 프로젝트’…흉물 양산 될라
상태바
[사설]20억원 ‘공공미술 프로젝트’…흉물 양산 될라
  • 정명숙 기자
  • 승인 2020.10.04 2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 최대의 미술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문화분야 뉴딜로 추진하는 ‘우리동네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5개 구·군별로 수행단체가 결정됐다. 중구는 더존종가로, 남구는 울산미술협회, 동구는 문화예술관광진흥연구소, 북구는 울산환경문화예술협회, 울주군은 울주웅촌예술인협회가 선정됐다. 이들 5개 단체에는 각각 4억원씩 20억원이 지원된다. 문체부는 이 사업을 위해 지난 6월 3차 추경에서 759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전국적으로 228곳에서 예술가 8436명이 참여한다.

문체부는 ‘공공 장소의 공간 개선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가들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우리동네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목표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사업수행기간이 내년 2월까지로 5개월여에 불과한데다, 일자리에 초점을 맞춰 한팀에 37명 내외가 참여하게 되므로 예산 나눠주기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울산에서도 5개 단체에 모두 185명 이상의 미술가 등이 참여하게 된다.

무엇보다 큰 걱정거리는 작품성이다. 공공장소에 노출되는 공공미술은 대중성과 예술성 두가지를 모두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자칫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아예 수준이 못 미치면 작품은커녕 시민정서를 위협하는 흉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5개월여만에 각기 개성이 다른 30여명 작가들의 의견을 조율해서 지역정서에 부합하는 완성작을 만들어내는 것도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차라리 지자체가 예산을 들여 작가의 완성된 작품을 구입하는 것이 나았을 것이라 말이 나오는 이유다.

가장 쉬운 공공미술로는 벽화와 조각품 설치가 꼽힌다. 벽화는 시간이 지나면 색깔이 바래기 마련이라 지속적인 관리 없이는 흉물이 되기 십상이다. 조각품의 경우도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상 작품 제작비 보다는 일자리에 예산이 치우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작품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예산낭비 보다 더 걱정되는 것이 공공미술이라는 이름으로 시민 정서를 어지럽히는 흉물의 양산(量産)이다. 문체부는 흉물스런 작품 양산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미술 프로젝트 자문위원회와 지역별 자문위원회를 운영해 작품의 예술성과 실행 가능성 등을 보완해 나가도록 조치했다고 한다. 이제 남은 과제는 이들 자문위원회의 활발하고도 엄중한 활동이다. 공공미술은 완성, 설치되고나면 개선이나 철거가 어렵다. 20억원이나 되는 세금이 낭비되지 않고 도심 곳곳에서 아름다운 작품을 만나게 하려면 단계별 사전심의를 강화하는 방법 외에 달리 도리가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