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문제는 점점 줄어드는 인구다. 울산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산업과 관광 등 인구유입 정책을 다각도로 펼쳐야 한다. 인접도시와 끊임없이 인구 경쟁을 벌이지 않으면 언제 ‘도시 소멸’이라는 비운을 맞게 될지 모른다. 그런 면에서 울산시가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내놓은 접경지역 성장동력 강화 정책은 늦은 감이 있지만 반드시 짚고 가야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시는 이번 도시기본계획에서 ‘인접 도시를 포함한 200만 인구가 활동하는 광역권 중추도시’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산권 자족신도시 기반을 구축하고 울산외곽 접경지역의 부도심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고 설명했다. 한마디로 울산과 인접도시 사이에 교두보를 쌓아 이웃 도시의 인구를 흡수하겠다는 것이다.
접경지역으로 인구가 들어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관광 등 많은 부분에 공을 들여야 한다.
현재 언양·삼남·상북·삼동으로 이뤄진 서울산권 신도심은 인구가 5만7768명이다. 여기에 송대지구에 약 6800명, 가교지구에 약 6700명, 복합특화단지에 약 3만2000명, 역세권 도시개발구역에 약 5000여명이 들어올 예정이다. 시는 서부권의 산업이 발달하면 밀양, 양산, 경주 등지의 인구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다 시는 북부권의 농소·강동, 남부권의 온양·서생, 청량·웅촌 등의 성장 동력을 집중적으로 살려나갈 계획이다. 북부권의 경우 교육·문화시설 등 정주기반을 확충해 농소권을 경주 외동 권역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온양·서생은 산업단지 배후 주거지역과 해안 관광레저를 대폭 강화한다. 청량·웅촌은 농수산물도매시장 건설과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배후 주거단지를 조성, 인근 인구를 대거 유입할 방침이다.
인구는 도시기본계획의 밑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울산은 경제침체로 1년 사이 1만명 이상 감소했다. 울산이 새로운 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구 유입 정책을 펼쳐야 한다. 출산율은 갈수록 떨어지는데 인구유출까지 계속된다면 울산은 2035년 도시기본계획을 결코 달성할 수 없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