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간절곶 해양 관광단지 지정 서둘러라
상태바
[사설]간절곶 해양 관광단지 지정 서둘러라
  • 정명숙 기자
  • 승인 2020.11.23 2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이 간절곶이다. 올해 2020년 1월1일 해돋이 시각을 보면 울산 간절곶이 7시32분이고, 호미곶은 7시33분, 정동진은 7시40분이다. 해돋이 명소 호미곶보다는 1분, 정동진보다는 8분이나 빠르다. 지난 2000년 새밀레니엄이 시작될 때 해돋이가 관광상품으로 급부상하기 시작해 지금은 모르는 국민이 거의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럼에도 새해 일출 관광객은 물론이고 평상시의 관광객조차도 정동진이나 호미곶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울산시와 울주군이 20여년동안 관광자원화 사업을 했으나 거의 성과가 없었다고 진단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유는 환경적 지리적 문화적 조건을 세밀하게 따져 봐야 겠으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간절곶에는 일출을 상징할만한 그 무엇이 없다는 사실이다. 쉽게 말해 멋진 해돋이 장면을 사진으로 남겨도 간절곶인지, 어느 평범한 바닷가인지 도무지 알수가 없다는 것이다. 상생의 손이나 모래시계가 등장하면 호미곶이나 정동진이라는 것을 누구나 금세 알아차릴 수 있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울주군이 서생 일원 해양관광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6월 완료한 해양관광개발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내년도에는 진하해안 사업을, 2022년에는 간절곶 일원 관광시설물 조성을 할 계획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기대보다는 걱정이 앞서는 마음을 감출 수가 없다. 지난 20여년동안 울주군에 여러 단체장이 거쳐갈 때마다 간절곶에 조형물이나 시설들을 했지만 그 중 어느 하나도 관광객을 불러들이는 역할을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관광자원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간절곶을 난삽하게 만드는 흉물로 남아 이동 또는 철거 비용을 가중시키기만 했다. 이번에도 울주군은 간절곶 등대 뒤편 초지 중앙에 높이 70m 규모로 소망타워를 비롯해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마음챙김센터, 바다로 뛰어드는 느낌을 주는 바다미끄럼틀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데 도무지 간절곶의 상징성과 맞아떨어질 것 같지 않아 벌써부터 걱정이다. 간절곶을 더 이상 망쳐서는 안 된다는 마음이 간절해진다.

오히려 해양관광단지지정 추진을 서두르는 것이 낫겠다. 근래들어 공공개발보다도 민간개발이 훨씬 더 친환경적이고 세련된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군은 용역비 2억5000만원을 투입해 재정 규모가 큰 관광개발 사업 추진 및 숙박시설 민자 유치를 위해 서생 전체 해안을 아우르는 해양 관광단지 지정 개발의 타당성을 조사한다. 조형물과 시설물을 하기 전에 관광단지로 지정해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