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한시가 급한 통합파이프랙…기업체 비용분담 약속 지켜야
상태바
[사설]한시가 급한 통합파이프랙…기업체 비용분담 약속 지켜야
  • 정명숙 기자
  • 승인 2020.11.30 2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겨우 첫단추를 끼운 울산석유화학단지 통합파이프랙 사업이 난항이다. ‘울산권 국가산업단지 통합파이프랙 사업 타당성 종합분석 및 기본설계 용역’의 사업비 5억7000만원의 확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는 국회 증액사업에 이 용역비가 반영되지 못하면 울산석유화학단지 통합파이프랙 사업은 지연되거나 중단될 수밖에 없다.

관건은 석유화학단지 기업체들의 사업비 분담 약속이다. 예상사업비는 773억원이다. 통합파이프랙 사업을 추진 중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애초에 원인자이자 수혜자인 기업들이 비용을 부담하도록 했다. 그런데 기업들의 반대에 부딪히자 2017년 분담률 책정 용역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국가 25% 기업 75%로 나왔으나 이번에는 정부가 분담 불가를 결정하는 바람에 산단공은 용역비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다행히 울산시가 정부를 설득해 25% 분담을 확보했으나 이번에는 기업체들이 75% 분담이 과하다며 발을 빼고 있다. 이렇게 되자 기재부는 국회 증액을 신청하려면 기업들이 75%를 분담하겠다는 확정서를 첨부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한은 겨우 이틀 남았다. 울산시가 어렵게 확보한 정부 분담률마저 날리는 일은 없어야 할 텐데, 쉽지 않아 보인다.

흔히들 울산석유화학단지를 화약고라고 한다.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지하에 매설돼 있는 배관망 때문이다. 정유·화학업체가 밀집한 울산석유화학단지의 지하에는 1774.5㎞에 달하는 배관들이 묻혀 있다. 화학관 821.1㎞, 가스관 572.2㎞, 송유관 158.9㎞, 상·하수관 124.2㎞, 전기·통신관 90.8㎞, 스팀관 7.3㎞ 등이다. 이들 배관은 길게는 60여년이 지나면서 노후된데다 지도도 명확하지 않아 사고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곤 한다. 지하에 증설을 하려고 해도 이미 포화상태이다.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석유화학단지를 만들면서 배관을 지하에 묻었던 탓이다. 다음에 조성한 여수석유화학단지는 처음부터 지상 통합파이프랙을 구축했다. 울산석유화학단지가 화약고가 된 데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파이프랙(Pipe Rack)은 파이프가 다니는 지상 선반이다. 자동차가 다니는 고속도로와 같다. 기업 경쟁력 강화와 석유화학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나, 울산시민들의 안전을 위해서나 통합파이프랙 설치는 너무나 시급하고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2009년 출범한 울산석유화학산업 발전로드맵(RUPI) 사업단이 제안한 100대 액션플랜 가운데 가장 첫번째 사업으로 통합파이프랙 구축이 꼽혔던 것도 그 때문이다. 기업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 올해 반드시 첫단추를 끼워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