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이 자체 예산을 들여 지역주민들을 위해 검사를 진행한다고 하니 주민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 없다. 그렇지만 코로나19 방역에 있어 기초단체의 경계가 무의미한 울산광역시에서는 시의 방역체계와 부합해야 하고 더 나아가 정부의 방역 시스템과도 소통할 필요가 있다. 울산지역 코로나19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울주군이 선제적으로 검사를 진행하되 울산시와 나머지 구청과의 협조체계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전국 지자체 가운데는 코로나19의 지역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신속·선제 검사를 도입하는 지자체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강원도 강릉에 이어 경기 여주시가 전 시민 대상 신속PCR검사를 실시하기로 했고, 경남도도 원하는 시민은 누구나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울주군도 이같은 신속·선제 검사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초단체 중의 하나다.
이선호 울주군수는 15일 기자회견에서 “전 군민에게 신속항원검사를 연내 무료로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조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언제, 어디서 폭발적으로 터져나올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전수검사 시점을 최대한 빨리 잡은 것도 잘 한 일이다. 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하는 것은 무증상 감염자가 얼마나 있는지를 파악하는데서 시작된다. 최소 1만여명에 대해 먼저 전수검사를 하게 되면 그 수치를 데이터화해 별도의 조치를 내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검사 방식은 검체 채취 후 약 15~30분 뒤 결과가 나오는 신속항원검사다. 정확도가 90%선인 점을 감안, 양성 반응이 나올 경우 기존 선별진료소에서 PCR검사를 재실시해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만일 여주시의 신속PCR검사가 더 정확도가 높다면 지체없이 바꿀 필요가 있다.
울주군의 전수조사는 참여자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활용도가 높다. 군민들 가운데 무증상 감염자가 얼마나 많은지 알아야 군민들 스스로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나설 것이다. 그러려면 이번 전수조사에 군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다소 힘들고 불편하더라도 그게 군민들의 건강을 지키는 길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