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시민들의 인식 제고다. 학교 대면수업 중단과 양지요양병원 코호트 격리라는 극약처방으로 확산세가 수그러들긴 했으나 안심하기엔 이르다. 특히 학교와 양지요양병원의 감염이 어디서 시작됐는지 알 수 없는 데다, 18~20일 사이 확진자 중에서도 여전히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가 12명이나 되기 때문이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는 것은 무증상 전파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기도 해서 확산세를 인위적으로 차단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결국 개개인이 자가격리에 가까운 생활과 개인위생 관리 등 감염가능성 차단에 집중하는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다.
울산시의 위기대응체계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역학조사만으로 확산세를 차단하기엔 한계에 이르렀다. 역학조사에만 집중됐던 행정력이 확진자 치료와 관리로 확장돼야 하지만 공공의료체계 미흡에 따른 한계가 분명하다. 양지병원에 대한 코호트격리가 외부확산을 막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음압병실도 없는 상태에서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한 건물에서 생활하면서 건물내 감염이 확산되는 사태를 낳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첫검사에서 71명이던 양지요양병원 관련 누적확진자는 238명으로 늘었다. 울산대병원의 병상부족으로 환자 이송이 어려운 사태도 발생했다.
공공의료원만이 해법이다. 코로나19사태는 공공의료체계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했다. 정부도 최근 공공의료체계 강화방안으로 2025년까지 공공의료원이 없는 지역 등 약 20곳에 공공병원을 신·증축해 병상을 5000개가량 늘리는 대책을 발표했다. 울산시는 국립산재전문공공병원 설립을 진행 중에 있다는 이유로 공공의료원 설립에 소극적으로 대응할 이유는 없다. 노동·시민·의료단체로 구성된 울산건강연대의 주장대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공공병원 설립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지금이 울산의료원을 설립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 산재전문공공병원과 공공의료원은 그 역할이 엄연히 다르다. 동시건립도 고려해보아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