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시 근본적인 감염병 대응 체계 마련해야
상태바
[사설]울산시 근본적인 감염병 대응 체계 마련해야
  • 정명숙 기자
  • 승인 2020.12.20 2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가 다행스럽게도 다소 둔화됐다. 지난 18일 확진가 9명으로 줄었고, 주말과 휴일인 19~20일 이틀간 23명으로 나타났다. 초중고등학교와 양지요양병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확진자가 쏟아져나오면서 13~17일까지 하루 44~24명을 오가던 확진자 숫자가 주말을 기해 다소 진정세로 접어들었다. 장구강습소와 양지요양병원에서 확진자가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코로나19 청정지역이라고 안도했던 울산이 수도권 감염확산세와 함께 홍역을 치렀다. 위기감이 사라지기 전에 서둘러 울산의 감염병 위기대응에 대한 근본적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우선 시민들의 인식 제고다. 학교 대면수업 중단과 양지요양병원 코호트 격리라는 극약처방으로 확산세가 수그러들긴 했으나 안심하기엔 이르다. 특히 학교와 양지요양병원의 감염이 어디서 시작됐는지 알 수 없는 데다, 18~20일 사이 확진자 중에서도 여전히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가 12명이나 되기 때문이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는 것은 무증상 전파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기도 해서 확산세를 인위적으로 차단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결국 개개인이 자가격리에 가까운 생활과 개인위생 관리 등 감염가능성 차단에 집중하는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다.

울산시의 위기대응체계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역학조사만으로 확산세를 차단하기엔 한계에 이르렀다. 역학조사에만 집중됐던 행정력이 확진자 치료와 관리로 확장돼야 하지만 공공의료체계 미흡에 따른 한계가 분명하다. 양지병원에 대한 코호트격리가 외부확산을 막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음압병실도 없는 상태에서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한 건물에서 생활하면서 건물내 감염이 확산되는 사태를 낳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첫검사에서 71명이던 양지요양병원 관련 누적확진자는 238명으로 늘었다. 울산대병원의 병상부족으로 환자 이송이 어려운 사태도 발생했다.

공공의료원만이 해법이다. 코로나19사태는 공공의료체계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했다. 정부도 최근 공공의료체계 강화방안으로 2025년까지 공공의료원이 없는 지역 등 약 20곳에 공공병원을 신·증축해 병상을 5000개가량 늘리는 대책을 발표했다. 울산시는 국립산재전문공공병원 설립을 진행 중에 있다는 이유로 공공의료원 설립에 소극적으로 대응할 이유는 없다. 노동·시민·의료단체로 구성된 울산건강연대의 주장대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공공병원 설립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지금이 울산의료원을 설립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 산재전문공공병원과 공공의료원은 그 역할이 엄연히 다르다. 동시건립도 고려해보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