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교육연대는 “지난 22일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이어 25일 교육관계장관회의에서 정시확대를 포함한 입시 개편이 발표된 이후 교육계와 우리 사회는 커다란 혼란과 당혹감에 빠져들었다”며 “낡은 수능체제로 되돌아간다면 부모의 능력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획일적인 표준화 시험의 굴레에 또 다시 얽매이게 될 것이 불보듯 뻔하다”고 밝혔다.
이어 “수능중심 정시 전형은 타 전형에 비해 사교육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입증됐고, 이 때문에 교육 공정성의 해법으로 정시를 확대하겠다는 것은 그 자체가 모순이다”며 “정시확대는 고교학점제와 자사고·외고 일반고 전환 등 문재인 정부의 교육정책 핵심과제와 상충하며, 교육정책 ‘일관성 부재’라는 평가를 듣기에 충분하며, 학교현장의 혼란 발생과 사회적 신뢰를 추락시키고, 정치적 개입이라는 비난 또한 피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울산교육연대는 또 고교서열화 해소, 대학서열체제를 깨트리는 국·공립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성 등 교육불평등 해소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봉출기자 kbc78@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