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조사한 2017~2037년 구군단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는 2017년 115만8787명에서 2037년105만8018명으로 10만769명(-8.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구는 2017년 23만4587명에서 2037년 20만7906명으로 2만6681명(11.4%), 남구는 2017년 33만5005명에서 2037년 27만2542명으로 6만2463명(18.6%), 동구는 2017년 17만3283명에서 2037년 13만5812명으로 3만7471명(2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북구는 2017년 19만5054명에서 2037년 21만8103명으로 2만3049명(11.8%), 울주군은 2017년 22만858명에서 2037년22만3655명으로 2797명(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는 도시경쟁력을 떠받치고 있는 중요한 동력이다. 특히 생산가능인구(만 15~64세) 비율은 도시의 운명을 좌우할만큼 중요한 요소다. 이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든다는 것은 도시가 서서히 멈추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노령층은 많아지고 연금 수령자는 늘어나며, 생산을 해도 소비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 대신 의료·복지 비용이 대폭 증가해 지방자치단체는 세수확보에 큰 애로를 겪게 된다.
울산시의 이번 조사에서 울산지역 생산가능인구는 모든 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구(57.3%)와 울주군(56.7%)이 가장 낮게 조사됐다. 이는 출산율은 떨어지고 노령층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의 총부양비(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인구)도 현저히 높아져 2017년 31.9명에서 2037년 67.4명으로 약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 중에서도 울주군의 총부양비는 76.4명, 중구는 74.4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시의 인구 감소 문제는 다른 광역시와 차원이 다르다. 당장 광역시의 도시기반이 흔들리고 잘못하면 다른 도시에 흡수되는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 ‘지역소멸’ 위기를 느끼고 있는 다른 도시의 인구 대책들을 보면 참으로 눈물겹다. 그런데 울산시의 저출산 대책이나 인구증가 대책은 별다른 것이 없어 보여 걱정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