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바람길숲도 좋지만 완충녹지 훼손방지가 급하다
상태바
[사설]바람길숲도 좋지만 완충녹지 훼손방지가 급하다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1.01.28 2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오는 2022년까지 ‘울산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울산의 도시 바람길 조성은 이전부터 강조돼 온 중요한 사업이지만 그 동안 예산난 등에 막혀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에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이 제대로 진행되면 울산의 공기 순환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공해물질을 차단하는 국가산단 완충녹지가 갈수록 훼손되고 있는 마당에 바람길숲 조성을 아무리 열심히 해봤자 그 효과는 반감될 것이 뻔하다.

이번에 ‘울산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하게 된 것은 울산시가 2019년 산림청 공모에 선정됐기 때문으로, 시는 오는 2022년까지 총 200억원을 투입해 도심 곳곳에 20㏊의 대규모 숲을 조성하게 된다. 사업비는 울산시가 100억원, 산림청이 100억원을 충당한다. 산림청이 사업비의 절반을 대는 것은 그만큼 도심 속의 바람길숲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산림청은 이번 사업의 목표를 도시의 미세먼지 저감, 도심내 열섬 현상 완화, 경관 향상 등에 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세먼지 저감과 열섬 완화 등이 주 타겟이다.

‘도시 바람길 숲 조성사업’은 도심외곽의 신선하고 차가운 공기를 도심으로 유도해 미세먼지를 걷어내고 공단에서 유입되는 공해물질을 저감하는 사업이다. 그래서 올해 사업추진 대상지도 울주군 온산읍 신일반산업단지 경관녹지와 북구 효문동 완충녹지 10㏊를 선택했다. 시는 우선 상반기에 신일반산업단지 인근에 바람길숲을 조성해 거남산 바람이 외황강을 따라 도심으로 흐르도록 하고, 무룡산 차가운 바람이 동천을 따라 시가지로 흘러들게끔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는 별도로 울산은 지난 1970년 미포국가산단과 인접한 동해남부선 철도변을 중심으로 남구 상개동~북구 연암동 구간 165만8000여㎡(길이 11.8㎞, 폭 20~500m)를 도시계획시설인 완충녹지로 지정한 바 있다. 이 구간은 국가산업단지에서 도심으로 넘어오는 공해물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지금까지 완충녹지 조성률은 저조한 상태다. 이 가운데 이미 완충녹지역할을 하고 있는 곳엔 LH가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어 환경부의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번 도시바람길 숲 조성사업은 이전부터 있어왔던 완충녹지 사업을 울산 전 지역으로 업그레이드시킨 새로운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쪽에서는 아파트단지를 조성하는 등 완충녹지를 훼손하면서 한쪽에서는 거액을 들여 바람길 숲을 조성하는 이율배반적인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울산시민들에게 좀 더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완충녹지 훼손과 바람길숲 조성의 상반된 정책을 바로 잡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