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16일 안 대표에게 양당 통합 논의와 관련, “버스에 시동을 걸기 전 합당으로 혁신의 의지를 보이는 상황을 만들자”고 말했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을 버스에 비유해 공식 경선 절차를 시작하기 전 합당을 마무리 짓자고 제안한 것이다. 이 대표가 당 경선 시작 시점으로 제시한 마지노선은 8월 중·하순이다.
이 대표는 취임 후 처음으로 안 대표를 예방한 뒤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전했다.
이 대표는 “버스에 시동을 거는 순간부터 대권주자들의 당 진입이 많아질 것이다. 안 대표도 비슷한 생각을 말했다. 각 당 지도자로서 합당 추진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했다.
국민의당 측의 ‘당명 교체’ 주장에 대해선 “주호영 대표 대행의 협상안에는 들어있지 않았다. 어떤 연유로 새로운 제안이 나오게 됐는지 파악해보겠다. 금명간 사무총장을 임명하면 실무협상 책임자를 정해 정확한 답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특히 “실무단이 꾸려지면 양당 지도부와 실무단이 모여 합당의 대원칙을 국민에게 알리는 계기가 필요하다”며 안 대표에게 합당 선언을 제안했다고 했다.
안 대표와 국민의당이 당명교체 등을 내포하는 신설합당 카드를 들고 나오면서 협상 과정에 험로가 예고되는 가운데 양당의 합당에 쐐기를 박으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안 대표는 회동 후 당명 교체와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에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보시면 당명 변경은 당연한 것 아니겠나”라며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실무선에서 서로 논의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합당 과정에서 ‘지분을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힌 데 대해선 “정치권에서 지분이라는 게 아주 뻔하다. 우리도 지분을 요구하지 않고, 국민의힘도 기득권을 요구하지 않고 서로 공정하게 합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합당 추진 계획과 관련해 “국민의힘이 실무협상단을 선임한 다음에 타임테이블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 당선에 대해서는 “정치 변화를 바라는 국민의 생각이 반영된 결과다. 제1야당의 변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