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일각 “‘무릎의전’ 방송관행 탓…가짜뉴스 피해구제법 필요”
상태바
與 일각 “‘무릎의전’ 방송관행 탓…가짜뉴스 피해구제법 필요”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1.08.3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강성국 법무부 차관이 27일 오전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브리핑하는 도중 관계자가 뒤쪽에서 무릎을 꿇고 우산을 받쳐주고 있다. 연합뉴스
직원에게 무릎을 꿇고 우산을 받치게 한 법무부 차관의 ‘과잉 의전’이라는 비판을 받는 가운데 여당인 여권내에서 “언론도 문제”라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됐다.

일부는 이번 논란을 언론개혁의 필요성과 연결 지으며 언론중재법 개정안 처리에 힘을 싣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당 대표 비서실장은 29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국민이 공분하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현장에 있던 기자들의 설명을 들어보면 법무부 차관에게만 손가락질하고 나무랄 일은 아닌 것 같다. 이런 상황을 지켜본 현장 기자는 왜 모두 침묵하고 있느냐”고 반문했다.

한준호 원내대변인도 관련 기사를 공유하며 “보도라는 것이 기자의 눈을 빌려 하다 보니, 분석 없는 섣부른 비판이 결국 오보를 만들어낸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책임은 지지 않는다. 가짜뉴스 피해구제법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앞서 고민정 의원은 지난 28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잘못된 방송 취재 관행에서 비롯된 일이다. 꽤 많은 언론인은 현장의 상황을 모르지 않을 테지만 기사를 쓰지 않을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러한 보도의 원인으로 온라인 클릭 수에 좌우되는 언론환경을 꼽으면서 “이런 자극적인 기사만 읽히고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언론의 신뢰도는 끝없이 추락한다. 해당 기사들을 보며 사실과 진실에 대해, 언론의 현 상황에 대해 고민해본다”고 덧붙였다.

한 중진 의원도 전날 “법무부 차관이 잘한 거 없다. 비판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언론 스스로 관행도 뒤돌아보자. 한쪽 면만 부각해 보도하는 관행은 확 뜯어고치자”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