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윤석열 고발 사주’ 의혹 공방 격화
상태바
여야 ‘윤석열 고발 사주’ 의혹 공방 격화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1.09.1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대 대선 초반 최대쟁점으로 부상한 이른바 ‘고발 사주’의혹과 관련된 여야의 공방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9일 정치권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윤석열 전 검찰총장측이 야권을 통해 범여권 인사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이 대선 정국의 변수로 부상하면서 검찰·공수처·경찰 등 다수의 기관이 동시다발적으로 수사에 착수할 수 있다는 관측과 맞물려 여야 진영간, 대선주자간 비상이 걸렸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전날 기자회견을 연 윤 전 총장과 국민의힘 김웅 의원을 겨냥해 총공세를 이어갔다.

윤호중 원내대표는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국민이 박근혜 정권의 국정농단을 엄단한 것처럼 윤석열 검찰의 정치공작, 선거 개입, 국기문란 역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로 불러달라. 당당하게 제 입장을 이야기하겠다”고 한 윤 전 총장의 발언에 대해 “때가 되면 부를테니 보채지 말길 바란다. 국회는 윤 후보를 무서워하지 않는데 윤 후보는 국회를 우습게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김웅 의원에 대해 “김 의원은 기억나지 않는다는 말을 반복하면서 손준성 검사와의 안부 문자는 뚜렷하게 선택적으로 기억하는 모습을 보였다. 불리한 것은 기억하지 못하고 유리한 것만 기억하느냐”고 반문했다.

박주민 의원은 윤 전 총장의 기자회견에 대해 “남은 건 인터넷 매체를 우습게 보는 윤 전 총장의 한심한 언론관뿐이었다”고 평가절하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날 여권과 검찰을 정조준해 역공에 나섰다.

이준석 대표나 당 차원의 공식 논평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지도부 주요 인사들이 여권발 정치공작 의혹을 집중적으로 부각했다. 제보자를 공익신고자로 발 빠르게 인정한 검찰도 맹비난했다.

정미경 최고위원은 “규정상 공익신고 요건 검토는 통상 60일이 소요되는데 의혹 제기에서 공익신고자 신분 인정까지 단 5일이었다”고 지적했다.

조수진 최고위원은 제보자를 겨냥, “부정한 목적으로 제보한 이후 신분을 감추기 위해 공익신고를 했는지도 자세히 살펴볼 대목”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는 당내 대선 후보를 검증하기 위한 공명선거추진단을 구성하고 단장에 김재원 최고위원을 임명했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