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수용불가 입장…갈등 예고
울산시의 농수산물도매시장 소매동 입찰 실시로 탈락한 기존 소매동 상인들이 생계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본격 활동에 나섰다. 상인들은 시에 연장영업과 보상, 이주대책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시는 수용 불가 방침이어서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3일 울산농수산물도매시장 소매동 상인들에 따르면, 지난 2일 관리사무소 회의실에서 소매동 전체 상인 70여명 가운데 50명이 참여한 가운데 ‘농수산물도매시장 수산물소매동 생계대책위원회’가 발족했다. 위원장에는 백창오 전 상가번영회장이 추대됐다.
대책위가 구성된 것은 최근 울산시가 소매동 점포 임대 방식을 입찰로 전환하고 전격 실시하면서 기존 상인들이 대거 탈락했기 때문이다. 기존 상인의 30% 가량만 입찰에 성공, 4일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임시영업장은 올 연말까지만 운영되고 폐쇄된다. 이에 탈락한 상인들을 중심으로 영업권 보장 차원에서 대책위를 꾸린 것이다.
이들은 “30년 가까이 이곳에서 장사를 해오며 생계를 꾸려왔는데 하루 아침에 길거리로 내쫓겨나게 됐다”며 “특히 올초 화재가 난 뒤 임시영업장을 만들면서 점포마다 시설비로 수천만원을 투자했는데 시에서는 이주비로 고작 20만원을 준다는게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아무런 대책없이 갈 곳 없는 상인들을 위해 당분간 현 임시영업장에서 연장영업을 하도록 해주고 이후 태화강국가정원 인근에 먹거리촌을 조성해 이주를 시켜주는 방안을 제안한다”며 “또한 떠나는 상인들에게 권리금 차원에서라도 적절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 같은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집회 등의 실력행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시는 수용불가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만일 (탈락한)상인들의 요구를 들어주게 될 경우 적법하게 입찰을 통해 영업을 하는 상인들과 형평성 차원에서도 맞지 않아 연장영업은 불가하다”고 일축했다.
또 “금전적 보상 요구도 수용하기 어려우며, 태화강국가정원 먹거리촌 조성은 타 부서 및 중구청 등과 논의를 해봐야 하는 사안”이라며 “다만 상인들이 다른 곳에서 영업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어느 정도 준비기간을 주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