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울산지역 양대사업장 노조의 차기 집행부가 선출됨에 따라 내년도 노사관계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년만에 실리 성향의 집행부가 들어선 현대차는 비교적 원만한 관계가 전망되는 반면, 4대째 강성 집행부가 집권하게 된 현대중공업은 각종 현안에서 갈등이 예상된다.
지난 3일 실시된 현대차 노조 8대 지부장 결선투표에서 당선된 이상수 당선자는 실리 성향의 현장조직인 ‘현장노동자’ 소속이다.
이 당선자는 공약으로 합리적 노동운동을 통한 조합원 실리 확보를 강조했다. 대표적으로 무분별한 파업을 지양하겠다는 것으로,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이 시작되면 연례행사처럼 반복하던 파업을 경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대신 단체교섭 노사 공동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교섭 시작 후 2개월 내 타결을 원칙으로 내세웠다. 이 당선자는 또 사회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노조 활동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부 공약에서는 향후 노사 갈등의 우려도 있다. 이 당선자가 내건 조합원 일자리 안정과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30만대 국내 신 공장 증설, 해외 공장 물량 국내로 유턴(U-turn), 시니어 촉탁제 폐지, 정년 최장 65세 연장 등의 공약은 회사 측이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어서다.
4대째 강성 성향의 노조 집행부가 들어선 현대중공업은 내년 노사관계도 큰 변화가 없이 험로가 예상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달 27일 현 집행부 사무국장 출신인 조경근 후보를 지부장으로 선출했다. 사측이 현 박근태 집행부와 6개월 넘게 임협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등 관계가 껄그러운 상황에서 현 집행부와 비슷한 노선을 계승하게 된 조 당선자 집행부와의 관계에 큰 변화를 주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안팎의 시각이다.
조 당선자는 선거에서 △조합원의 임금과 보편적 복지 확대 △통상임금 빠른 승소를 위한 활동 강화 △정년연장 제도적 준비 △현대중공업그룹 공동교섭 추진 등 사측이 받아들이기 힘든 공약을 내걸었다. 특히 이 중에서 현대중공업그룹 공동교섭 추진은 노사 간 대립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4사 1노조’ 체제인 현대중공업 노조는 현대중공업과 각 분할사 중 1곳이라도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타결되지 않으면 이미 타결된 곳이라도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그룹사 전체 교섭단을 꾸리면 이 같은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차형석기자